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덕망있는불독137
덕망있는불독13723.12.05

한글이 과학적이라는것은 세상의 모든소리까지 담아 낼수 있도록 만들어진 최고의 문자인데 사실인가요?

한글이 과학적이라는 이유가 세종이 거울을 보면서 직접 자신의 혀모양,입모양을 참조해서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하고 세상의 모든소리까지 담아 낼수 있도록 만들어진 최고의 문자인데요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은 주로 한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외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영어와 같은 서양 언어의 경우 발음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한글로는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은 음운론적 원리에 기반을 둔 문자로, 사람의 구강 내에서 어떤 위치와 방식으로 소리가 나는지를 기반으로 자음과 모음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세상의 모든소리까지 담아 낼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은 음절 기반언어, 발음과 철자의 일치, 논리적인 글자 구성 등으로 과학적인 원리가 있습니다.

    소리와 글자가 일치하는 언어로 이는 음성과 문자 간의 직접적인 대응관계를 형성하며 외가 글자와 소리간의 일관성을 읽고 쓰기를 빠르게 수행할수있습니다.

    한글은 음절 기반 언어로 한 글자가 하나의 발음을 나타내며, 글자 하나하나가 독립적이므로 이를 조합해 단어와 문장을 형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한글과 같은 경우 만든 사람이

    알려져 있는 유일한 문자이며 모든 소리를

    다낼 수 있는 유일무이한 문자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로 세상 모든 소리를 정확히 낼수 있는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つ는 츠 와 쯔의 그 어딘가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일본사람이 한국사람과 구별하는 방법으로 つ를 발음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니까요. 하지만 츠 와 쯔라고 하면 어느정도 통용되고, 받침을 이용해서 정말 다양한 패턴의 소리를 낼수 있기 때문에 세계 어어학자들이 우수성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에서 세계 모든 문자를 두고 과학성 합리성 독창성 같은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적이 있는데 한글이 1위를 한적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