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동종이 지닌 문화적 가치
안녕하세요.
상원사 동종이라는 것이 무엇이며
상원사 동종은 언제쯤 만들어졌나요?
그리고 이것이 지닌 문화적 가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존하는 신라시대 11개 범종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것으로 유명하다. 국보 제3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예종 1년(1469)에 선왕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평창 상원사에 옮겨왔기 때문에 상원사 동종이 되었다.
과거 양평군 용문산의 상원사에 걸렸던 '용문산 상원사종'과는 절 이름만 같고 다른 종이다. 용문산 상원사종도 통일신라 범종으로 유력시되지만 일본이 조작한 위작 논란이 있어 1962년 국보에서도 해지되었다.높이 167 cm, 지름 91 cm.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동종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범종(梵鐘)으로,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주조되었다. 몇 안 되는 귀중한 신라시대의 범종으로, 아직까지도 음향이 맑고 깨끗하다.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의 상원사에 있지만, 원 위치는 상원사가 아니다. 조선시대 안동의 읍지(邑誌)인 <영가지(永嘉誌)>에 따르면 안동대도호부 관아의 문루에 걸려 있었는데, 조선 예종 1년(1469)에 왕명으로 상원사로 옮겼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숭유억불 기조 때문에 전국의 대종 및 범종들이 유생들의 손으로 파괴되거나 녹아 사라지던 중 세조가 역사성 깊은 이 종을 보존하라는 명을 내렸다. 세조가 사망한 후 아들인 예종이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상원사에 이 종을 보관하게 하고 세조의 명복을 비는 어찰로 삼아 왕실이 엄격히 보호토록 하였다. 결국 비슷한 범종들 대부분이 손괴되어 사라질 때 이 종은 조선왕실에게 보호받았고, 이 덕분에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종으로 남았다.[1]
워낙 오래된 유물이다보니 현재는 종을 직접적으로 타종하는 일은 없다. 대신 특별한 행사 등으로 종을 칠 일이 있을 때에는 바로 옆에 있는 모조품으로 타종한다고.출처: 상원사 동종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동종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신라 성덕왕 24년 (725)에 주조되었습니다.
조선 예종 1년 (1469년) 선왕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 평창 상원사에 옮겨와 상원사 동종이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숭유억불 기조 때문에 전국의 대종 및 범종들이 유생들의 손으로 파괴되거나 녹아 사라지던 중 세조가 역사성 깊은 이 종을 보존하라 명을 내려 세조가 사망 후 아들 예종이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상원사에 이 종을 보관하고 세조의 명복을 비는 어찰로 삼아 왕실이 엄격히 보호토록했습니다.
결국 비슷한 범종들 대부분이 손괴되어 사라질때 이 종은 조선왕실에게 보호받았고, 이 덕분에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종으로 남아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동종의 독창적인 양식은통일신라시대에 갖춰졌다. 2. 상원사동종은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동종이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상원사 동종이 문화재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이었다. “제작연대는 불명이지만 고려초기에 속하는 듯하며 신라와 중국의 양식을 절충한, 전혀 유례를 찾기 힘든 진귀한 사례”라는 일본학자 세키노 다다시(關野貞)의 평가에 따라 이 종을 보물로 지정했다.
-출처: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