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거대한발발이203
거대한발발이20323.03.05

의사가 되는 과정들에서 명칭을 어떻게 부르는지 궁금합니다.

동네에 의사분들을 보면 많이 존경스러운데요. 대학교에 의예과에 입학해서 최종 의사까지 가는 과정들이 궁금합니다.레지던트? 인턴? 일반의? 등등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의대에 진학하면


    의예과(2년)

    의학과(4년)

    6년과정을 거치구요.

    의예과와 의학과 총 6년을 마치고 나면 의사국가시험을 치르게 되고 합격하면 의사면허증을 받게 됩니다.

    사실 이때부터 사회에 나가 개원도 가능하고 봉직의로 근무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의사들은 대부분이 전문의를 취득하고 있습니다. 전문의를 취득하지 않은 의사는 일반의라고 불립니다.

    이후는 전문의 과정입니다.


    인턴(1년)

    레지던트(4년)


    의사면허 취득 후 인턴수련을 하고 싶은 병원에 지원하고, 합격하면 1년동안 각 과를 스케쥴에 따라 순환하면서 자신이 무슨 과를 전공할지 정하게 됩니다. 보통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응급실 등은 필수적으로 근무하고 그 외 나머지 과는 근무를 할 수도 못할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이 전공하고 싶은 과를 인턴 때 돌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인턴 1년이 끝나면 전공의에 지원하게 되고 합격하면 4년동안 전공과 내에서 수련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이비인후과의 경우 귀만 보는 교수, 코만 보는 교수, 인후만 보는 교수가 따로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교수들을 순환하며 도제식으로 배우게 됩니다. 입원환자의 주치의를 하고, 수술을 보조(외과계열)하고, 외래진료도 하고, 응급실에서 환자를 진료하는 등 전공의 수련을 마치면 전문의 시험을 보게 됩니다. 여기에 합격하면 비로서 전문의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