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론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리스어인 onta(존재하는 것)와 logia(學, 論)를 합쳐, 17세기에 고클레니우스(Rudolf Goclenius, 1547~1628 : 독일의 철학자)나 클라우베르크(Johann Clauberg, 1622~1665 : 독인의 철학자) 등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여기에서 존재론이란, 존재하는 것을, 그 특수한 형태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 그 자체로서 일반적으로 그 근본적 규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로 말하면, 이미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철학, 즉 그의 형이상학이 그와 같은 연구를 하고 있으며 중세의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위에 기독교의 입장에서 존재론을 말한 대표자이다.
근대에 와서는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초감각적ㆍ비물질적인 구조를 생각하는 것을 형이상학의 일부분으로서 존재론이라고 하였는데, 이런 의미에서는 현상으로서의 존재가 아니라, 그 근저에 있는 본체에 관한 연구라는 뜻으로 '본체론'이라 불렀다. 이 본체론을 조직화한 인물이 18세기 초의 볼프(Wolff)였다. 이것은 모든 경험적 과학으로부터 단절되어 개념의 추상적인 연역에서 존재의 여러 성질을 도출해 낸다(존재ㆍ가능성과 현실성ㆍ양과 질ㆍ실체와 속성 따위 개념의 사변적 논의). 이 본체론은 칸트에 의하여 이성의 무제한적인 사용에 의한 '독단론'이라고 하여 배척받았는데, 그 후 독일 고전철학은 새로운 형이상학으로서의 존재론을 만들어냈다.
이것은 헤겔(G.W.F. Hegel)에 의하여 존재론ㆍ논리학ㆍ인식론을 통일한 형태로 제시되어, 그가 완성시킨 것은 아니지만 존재론이라는 사변적인 철학적 구상에서 탈피하여 세계에 관한 현실적이고 실증적인 지식과 결부된 철학상의 고찰의 길을 열었다. 이런 경향은 그 이전에도 홉스(T. Hobbes), 스피노자(B. de Spinoza), 로크(J. Locke) 또는 18세기 프랑스의 유물론자들이 경험과학에 기초한 학설을 세운 것에서 사변적인 존재론의 기반을 무너뜨리기 시작하고 있었다.
그런데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다시 새로운 존재론이 제창되었다. 그것은 한편에서는 가톨릭 철학자들에 의해 중세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론을 새로운 형태로 부흥시키려는 시도(☞ 신(新)스콜라주의)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후설의 현상학에서 찾을 수 있다. 그의 순수의식의 본질학의 전단계라고 할 수 있는 존재론, 그것을 계승한 하이데거의 변증법적 인간존재를 단서로 하여 존재하는 것을 해명하려고 하는 기초 존재론, 또한 신(新)칸트주의에서 출발한 n.하르트만이 인식론의 근저에는 존재론을 필요로 한다고 하여 주창한 비판적 존재론, 그 외에 현상학에서 도출된 사르트르의 존재론 등이 있다. 마르크스주의 철학은 존재론같이 경험과학에서 유리된 것을 철학의 특수부문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