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되알진치와와155
되알진치와와155

금리인하를 쉽게 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제 금리인하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고는 하는거 같던데

쉽게 금리를 인하하지는 않는거 같더라고요

오히려 또 올린다는 소리도 있는거 같고요

왜 금리를 내리지 않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금리인하를 쉽게 하지 못하는 이유는 금리인하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시장의 유동성이 확장되기 시작하면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는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게 되요. 그런데 지금 금리인상을 했었던 이유가 바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였기 때문에 지금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다시금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게 되어 금리를 인상했던 효과가 다 사라지게 되므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라도 지금은 금리를 인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에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금 여전히 물가가 3%대 중반에 머물고 있고 그러니까 목표 물가보다 상당히 높거든요. 그러니까 금리 낮출 이유가 없죠. 또 경기가 침체하면 물가는 뭐 안 잡혔다 하더라도 옆에 부도가 나고 또 고용이 줄어들면 고용을 늘리기 위해서라도 금리를 낮출 수가 있는데 지금 고용이 여전히 뜨겁습니다. 그러니까 이런 상태에서는 금리를 내려야 될 어떤 경제적 동의는 없는 것이죠. 다만 한 가지 변수는 있습니다. 정치적으로요. 11월 달에 미국 대선이 있는데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서는 그동안 경제정책을 잘 운영해 왔다. 물가가 오른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돈을 풀어서 그런 것이고 자기가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국민들의 고통을 많이 받아왔지만 그러나 이제는 물가를 서서히 잡는다. 금리를 내리면 이제 그 금리 정책이 성공했다는 그런 시그널로 받아들일 수가 있거든요. 그래서 바이든 대통령은 본인이 직접 하는 건 아니지만 FOMC 금융 그러니까 공개시장위원회에다가 은근히 금리 이제 좀 내려줬으면 좋겠다고 강력하게 압력을 넣고 있기 때문에 정치적인 동기에 의해서 금리가 내려갈 가능성이 하나 있고요. 두 번째 가능성은 지금 미국 경제가 좋다고 그러지만 언제 갑자기 복병이 나타나서 마치 2008년도 리만 브라더스 사태 처럼 갑자기 거꾸로 질 수가 있습니다. 거꾸로 지는 신호 정도는 나타나야 그때 금리를 인하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 금리를 지나치게 낮추면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고 금융 안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금리 수준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 물가가 잡히지 않는 상태에서 함부로 금리인하를 한다면 추후 물가가 다시 올라가고 이에 따라서 경제에 다시 부담을 줄 확률이 높기에 현재 쉽사리 금리인하를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 아직까지 세계 경제의 상황이 불확실하며

    미국의 금리 인상이나 인하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주변 상황을

    관망하는 관점이라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