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진실한낙타288
진실한낙타288

민생 회복 지원금이 전국민 25만원과 소득별 차등지원중에서 어떤지원이 타당할까요?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원금을 주는 방안과 지급 대상을 더 세분해서 취약 계층에 대해 많게는 40만원 이상의 지원금을 지급하고, 나머지 계층은 소득수준에 따라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기로 가닥을 잡았다고하는데. 소득 상위 10~20% 이내 고소득계층은 아예 지원금을 지급하지 않는 방안도 논의중이라고 하는데 어떤지원이 타당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가한베짱이251
    한가한베짱이251

    소득별 차등지원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사회는 소득에 따라 경제적 여건이 전부 다릅니다. 그래서 엄청난 부를 축적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동일하게 25만 원 받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금전적 여유가 큰 사람은 지급하지 않아도 되고 반대로 그렇지 않은 사람은 오히려 더 높여서 지원하는 게 타당합니다.

  • 내가 좋아하는 라면은 너구리입니다.구분해서 지급하는 비용과 모든사람 주는비용을 비교해서 지급하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구분해서 지급하는비용도 인권비가 많이들어간다면 다주는것이 좋을것같구요.선별해서 지급해도 차이가 많다면 선별해서 지급하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 모든국민에게 지원금을 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상위 10 20프로의 기준을 어떤식으로 정하냐도 고민이 필요한 부분같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로부터 거대한재산을 물려받은 백수에게 현 수익이 없다는 이유로 지급, 그와 반대로 재산은 0이나 열심히 준비하여 연봉이 높은 직장에 간사람에게는 현 수익이 많다는 이유로 지급거부 등이요

  • 저는 소득별 차등 지원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취약 계층에 더 많은 지원을 하고 고소득층은 제외하는 게 공평하다고 봐요.

    이렇게 하면 도움 필요한 사람에게 더 잘 전달될 것 같아요.

  • 25만원 받는다고 가계가 크게 달라지나요?

    그럼 40만원 받으면 달라지나요?

    국가의 빚만 늘어날 뿐이고

    세금부담만 안게 되는데

    줄려면 전국민 다 줘야죠.

  • 개인적으로 전국민에게 25만원을 지급하는 것은 그리 효율적이지 못한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지원이 필요한 계층에게만 집중적으로 지원을 해주는 것이

    세금도 절약하고 효율적인 정책이라고 생각하고 25만원을 소득 상위 10~20%를 제외하고 준다는 정책은 솔직히

    인플레이션만 유발하여 오히려 서민들만 힘들어지게 되는 상황이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생회복지원금은 전국민 25만원

    지원하는 보편적인 지원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경계선에 있는 사람들은 불공평함을

    느낄수 있고 고스득자라 해서

    그렇게 여유로운 삶을 산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재정적 문제가 있다면 선별지원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전 전국민 동일하게 주는게 맞다고생각합니다 소득에 따라준다면 고연봉자들은 못받는건데 현재정책중 연봉이높으면 받은게 거의없고 복지는 누구에게나 동등해야한다고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