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0

엄지발가락에 내성발톱이 생겨 통증이 생겼는데 어떻게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나이
5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제가 발톱 관리를 잘못해서 발톱 무좀이 있는데 여기에다가 내성발톱까지 생겨 통증이 생겼습니다. 이럴 경우에 어떻게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외과 전문의
    외과 전문의23.01.10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의학박사 곽성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내성 발톱은 발톱 양측면이 내부로 파고들면서 염증 및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인데, 이는 사이즈가 작아 발을 꽉 조이는 신발을 오래 신은 경우, 발톱을 깍을때 바깥쪽을 너무 깊이 깎거나, 만성 발톱 무좀으로 인한 발톱 모양의 변형 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우선적으로 발가락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넉넉한 사이즈의 신발을 신고, 발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발톱을 기른후에 일자로 잘라 양측 끝이 살 내부로 파고들지 않게 유지해야합니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발톱 교정기 등으로 교정을 시도해 볼 수 있으나, 염증이 심하고 출혈까지 동반된 경우 해당 부위의 발톱일부를 제거하는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내성 발톱 초기에는 파고 들어간 발톱을 위로 들어 올려줌으로써 증상을 호전시킬수 있습니다. 피부과나 외과에서 진료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발톱 무좀도 같이 진료를 보시면 되겠으며 발톱 무좀의 경우에는 치료 기간이 오래 걸릴수 있기에 꾸준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보통 항진균제 연고와 복용하는 약을 이용하여 치료를 합니다. 레이저 치료도 시행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일단 발톱 무좀에 대해서는 6개월 이상의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내성 발톱의 경우 증상이 심하다면 발톱 일부를 잘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어차피 감염된 발톱이라면 잘라내주는 것이

    내성 발톱과 무좀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지요. 발톱 절제 이후에는 약물 치료를 하면서 발톱을 짧게 깎지 않도록 해야 하구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내성발톱은 손상, 진균감염, 성장이 과하게 빠르거나 느린경우, 잘못된 발톱 손질, 발톱 물어 뜯기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료는 주로 정형외과, 그 중에서도 족부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발톱이 파고 들지 못하게 발톱과 살 사이에 치실이나 솜등을 이용해 들어주거나 정도가 심하면 발톱을 다듬거나 잘라낼 수도 있습니다. 발톱이 다시 완전히 자라나는데는 약 2-4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먼저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 내성발톱은 물리적 및 화학적 자극이나 충격 등의 원인에 의해 발톱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자라며 살 안쪽으로 파고들면서 통증, 염증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안타깝지만 내성발톱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기가 어려우며, 정형외과에서 국소 마취를 하고 수술적 치료를 통해서 치료하여야 합니다. 골치 아프게도 재발의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무좀이나 다른 이유로 인한 내성발톱은 방치할 경우 살을 파고들어 염증 및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까운 정형외과 및 피부과 진료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