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9

아이가 핸드폰영상을 자꾸 보려고 하는데 어찌 지도할까요?

아이에게 한두번 핸드폰 영상을 보여주었더니

자꾸 보려고 하는데 어찌 지도할까요?

무턱대고 안돼!라고 하면 아직4살인데 강압적으로 하는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들어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아이가 스마트폰 영상에 집중하고 있는 그 순간 아이의 뇌는 정지된 상태라고 합니다.

    그런 다음 아이가 휴대폰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부모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집 안에 있을 때는 역할놀이나 블록놀이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며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 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는 성인에 비해 조절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모님이 개입해서 관리해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무턱대고 안돼'보다는 관심을 다른 곳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포인트라 할 수 있습니다.


  • 황정순 보육교사blue-check
    황정순 보육교사23.03.29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유튜브 창업자도 자기의 자식에게는 유튜브 동영상을 안 보여줬다고하죠. 안 보여주는 게 최선이겠지만 어쩔 수 없을 때는 관심사를 다른 외부 육체활동으로 돌리세요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핸드폰 영상을 장시간 동안 보여주면 중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핸드폰 영상 대신에 아이가 흥미를 느낄 수 있을 만한 다른 놀잇감이나 놀이를 제시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핸드폰 시청을 계속하는 아이를 강제로 막지는 말고,

    아이가 좋아하는 다른 활동이나 놀이를 제공하여 핸드폰 시청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해보세요.

    예를 들어, 함께 책을 읽어주거나, 야외에서 놀이를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아이의 호기심과 놀이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하루 20~30분 내외로 보여주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스마트폰 영상을 보고 자꾸 보고싶어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입니다.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아 신기한 것을 보게 되면

    반복적으로 행동하려합니다. 이때 아이에게 아이 눈높이로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자주 보는 경우 뇌건강이나 눈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핸드폰 영상을 자꾸 보려고 한다면,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지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아이의 관심사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다른 활동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동물을 좋아한다면 동물 동화책을 보여주거나 동물에 관련된 놀이를 제안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의 영상 시청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어린 아이들은 자극적인 영상이나 무분별한 영상 시청으로 인해 뇌 발달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이의 영상 시청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시청 가능한 시간과 시청 가능한 콘텐츠를 결정하여, 아이와 상의하여 합의를 이루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부모와 아이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활동을 찾아서, 아이가 더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해주던걸 갑자기 해주지 않으니 아이도 자꾸보여달라고 더 떼를 쓰게 되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 그런반응이 있더라도 앞으로 일관적으로 하신다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부모님도 아이가 보이는데서 가급적 스마트폰을 사용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여주신다면 아이가 더 빨리 익숙해 질 거에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이들이 화려하고, 움직임많고, 다양한 소리가 나는 미디어를 일찍 접하다 보면,

    상대적으로 밋밋한 책은 더더욱 멀리하게 되어 있습니다.

    최대한 영상 보는 연령을 늦춰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미디어 노출은 아이의 인지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결과가 있기도 한데요 가급적 멀리하는게 맞습니다. 아이와 이야길 해보시고 시간을 정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처음은 힘들어 할 수 있지만 아기 미디어를 보는데 있어서 적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에는 가급적 휴대전화 사용을 삼가시고 다른 놀이감이나 책읽기 함께 노래부르기 등을 통해 관심을 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육아의 편의를 위해 차량이동시나 식당등 특정 조건과 결합해 보여주는것은 삼가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여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 사용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모두가 겪고 있는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는데요. 아직 뇌발달이 진행중이 유아기때의 스마트폰 사용은 장점보단 단점이 많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스마트폰에 빠져 있는 아이는 일반 아이보다 우측 전두엽 활동이 적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 뇌의 불균형 발달로 인해 ADHD, 틱장애, 발달장애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더불어 강한 자극에만 반응을 보이는 팝콘 브레인 현상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또 스마트 폰은 밝은 빛을 내는데 이것은 빠르게 성장하는 뇌 발달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아기때 스마트 폰에 많이 노출 되면 신체 기능 , 신체 능력, 운동 능력이 저하 됩니다. 애를 써서 몸을 크게 움직여야 하는 노력 없이도 재밌는 자극을 주는 스마트 폰에 익숙해지면 신체 능력 및 관련된 뇌 기능 발달에 영향을 주어 악순환으로 이러지게 됩니다. 또한 언어 발달에도 영향이 미치고 이는 사회성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되어 더욱 주의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용을 하더라도 아이가 스스로 그 시간을 조절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셔야 합니다. 하루에 일정한 시간을 정해서, 되도록 1시간 이내로 하거나 아니면 평일엔 사용을 자제하고 주말에 사용할 수 있도록 규칙을 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님이 아이와 함께 놀이에 참여하여 아이가 심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