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나누기를 나타내는 순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는 순우리말이며, 사칙계산 또는 사칙연산입니다. 우리말 한자어로 가감승제입니다. 여기서 또 다른 순우리말에서 합, 차, 곱이 있는데, 나누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순우리말이 아니라 한자어로 합/차/곱/분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 수학에서는 순우리말로 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 라고 합니다.
그런데 한자어로 쓰려니 이해못하는 사람들도 있고, 순우리말로만 쓰려니 길고 해서 자주 쓰는 합/차/곱 은 한자어로 쓰고 '분'은 분수, 미분, 적분 등에 쓰니 쉽게 구분하려 '나누기'라고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따라서 순우리말이 '나누기'고 한자어로는 '분'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더하기 빼기 곱하기를
각각 합, 차, 곱으로 한다면 나누기에 대한 우리말은 몫이라고 해야 할 것 입니다. 우리말 몫은 ‘여럿으로 나누어 가지는 각 부분’을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질문 제목은 순우리말을 물어보시면서
본문에선 합合 차差 같은 한자를 물어보셔서 좀 헷갈리네
일단 한자로는
나누기는 분分입니
분해, 분할, 분배 할때의 분이죠
초등수학에서 합차곱다음에 나오는 것은 몫
나눗셈 식에서 결과를 뜻합니다
10/2=5 에서 5가 몫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