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경제로부터 자유을 꿈꾸다
경제로부터 자유을 꿈꾸다
22.08.01

일반적으로 유통기간이 적혀있는 제품은 유통기간이 지나더라도 얼마까지 안전할까요?

제품종류마다 차이는 있겠으나 유제품 라면등등.. 유통기간이 지나더라도 얼마정도까지 유효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늠름한타킨105
    늠름한타킨105
    22.08.01

    안녕하세요. 늠름한타킨105입니다.

    보통 개봉하지않으면 하루이틀은 괜찮다고들 하지만

    여러가지 종합적으로 계산해서 적어놓은 유통기한이니 왠만하면 안넘기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영리한발구지226입니다.


    일반적으로 ‘유통기한’ 하면 ‘식품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기한’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통기한의 정확한 의미는 유통업체 입장에서 소비자에게 식품을 판매해도 되는 최종적 기한을 말합니다. 보관상태와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유통기한은 현재 모든 식품의 소비기한의 60~70%로 정합니다. 예를 들어 식품이 변질하지 않는 기간이 5일이라면 60~70%인 3일을 유통기한으로 정하는 것입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유통기한이 만료된 식품이라도 0~5℃의 냉장 보관상태라면 우유는 최고 50일, 달걀은 약 25일, 식빵은 약 20일 정도까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우유의 유통기한이 평균 9~14일인 것을 고려하면 개봉하지 않고 냉장고에 보관한다면 최장 60일까지 소비기한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급스런코뿔소151입니다.

    제품이 따라 다른거 같은데 유제품은 50일정도는 괜찮고, 라면은8개월 정도는 구ㅐㄴ찮다고 하네요

  • 식품업체의 유통기한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조한 후에 소비자에게 판매까지 허용되는 기간"

    보관 상태에 따라 최대 30~70일 까지 먹을 수 있는데,

    요구르트 같은 유제품은 30일, 우유는 45일, 발효된 치즈는 70일 까지도 괜찮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8.01

    안녕하세요. 현명한향고래203입니다.

    보통 보관을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다를 것 같구요.

    통조림 같은 경우는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어도 상관없다고 하더라구요.

    라면이나 즉석식품등도 수개월 지나도 먹어도 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또한 유통기한이 지났다 하더라도 냄새나 육안으로 보시고 상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드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결한게244입니다.

    유통기간은 쉽게 말해서 판매가 가능한 날짜입니다 유통기간이 지나도 보관 지침대로 잘 보관되어 있고 제품에 이상이 없고 소비기한이 지나지 않았다면 괜잖을 수도 있지만 보통 보관 지침대로 보관을 안하는 경우가 있고 제품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얼마까지 안전하다고 말씀드리기는 곤란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