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4.01.21

영어의 대문자, 소문자는 왜 생긴 것인가요?

그리스, 초기 로마 시대를 다룬 미드, 영화를 보면 대문자로 표기하는데, 소문자는 왜 생긴 것인가요?

아니면 고증이 잘못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어는 원래 대문자만 존재했으나, 인쇄나 기록을 하는 과정에서 곡선을 구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직선 위주의 대문자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기술이 발전하면서 곡선이 많은 소문자가 만들어졌습니다. 소문자는 대문자에 비해 글자를 빨리 기록 할 수 있고 글쓰는 공간을 줄여 주어 대문자 보다 소문자를 주로 활용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어에서만 쓰는게 아니고 프랑스어나 독일어 처럼 알파벳 쓰는 모든 언어에서 대,소문자를 쓰지요

    고대에는 돌을 깎아서 글을적었기 때문에 직선이 유리해서 글씨가 직각직각 했지만

    종이가 발명되고 팬이 발명되면서 곡선이 더편해졌고

    그래서 소문자 쪽이 나중에 발명되었다는게 정설입니다.

    알파벳의 대문자-소문자 체계는 지역마다 따로따로 발전하다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대제 시대에 제대로 체계화되었다고 합니다.

    지역마다 문법이 완전 다르니까 행정적인 혼란이 심해서 카를링거 소문자를 발명해서 보급한 기록이 있죠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대문자의 기원만 나와있습니다. 그래서 소문자는 대문자를 실사용 하다가 개발된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대문자로만 쓰다가 사람이 쓰다보니까 편하게 조금 둥글고 작고 날려쓰게 됐는데, 막상 보니가 더 빨리 편하게 쓸수 있어서 좋았던 것입니다. 그래서 소문자가 생기고, 지금은 대문자를 강조나 고유이름이나 문장 맨 앞에 정도에 쓰게 되었씁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문자가 생긴 이유는 필기 편의를 위해서였다. 본래 대문자만 쓰이던 시절인 고대에는 대체로 기록을 점토판 등 딱딱한 재질의 기록매체에 남겼기 때문에 곡선 등을 그리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따라서 문자가 직선 위주로 만들어졌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원래 기존에 만들어질때는 대문자로 만들어졌다가 사용함에 있어 좀 더 빨리 써서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소문자 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독특하게 대문자 소문자가 없지만, 중국이나 일본을 보면 간체자, 간자, 약자 라고 해서 원래 단어와 문자를 더 짧고 간결하게 쓰고 있습니다. 영어의 기원인 라틴어도 대문자와 소문자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대문자의 사용은 나라별로 조금 틀리긴 합니다만 보통 소문자가 만들어진건 필기나 인쇄, 사용의 편의성 때문에 발전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