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옹골진미어캣103
옹골진미어캣103

아이들 훈육을 어떻게하면 될지 알려주세요

4학원 2학년 2명을키우고있습니다 이제 머리가커서 그런지 제말은 안듣는데요 어떻게 가르치면 훈육이 될지 좋은 부모가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아이를 적절하게 훈육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 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하는게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자의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가 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란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의 훈육에 있어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단호해야 합니다.

    아이들이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아이들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들을 그 자리에 앉힌 후, 아이들의 손을 잡고 아이들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지금 한 행동과 언어는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지금 한 행동과 언어가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더나아가 왜 부모님의 말씀을 잘 들어야 하는지 그 이유도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행동이 한 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는 않기 때문에 아이들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밥상머리교육 시간을 통해서 매일 꾸준히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들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훈육을 할 때는 일관성이 중요합니다. 한 번은 허락하고, 또 다른 날은 금지하면 아이는 규칙을 이해하기 어려워집니다. 또한 규칙을 설정한 후에는 이를 일관되게 지키도록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좋은 행동을 했을 때 그 행동을 칭찬하고 격려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긍정적인 강화는 아이들이 올바른 행동을 반복하도록 유도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칭찬을 해주면 아이는 그 행동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학습하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초등학교 2학년에 접어들면서 독립심과 자아가 확립되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부모의 말에 순종하지 않거나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훈육이 중요한 시점인데요, 단호하면서도 공감하는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또한, 아이들이 더 나은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강화와 일관성 있는 규칙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훈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성입니다. 부모가 규칙을 정하고 이를 일관되게 적용하지 않으면 아이들이 혼란스러워하고, 규칙을 지키지 않으려 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2학년 아이들은 자아가 점점 확립되고 독립적인 성향을 보이는 시기이기 때문에, 훈육이 중요합니다. 일관된 규칙, 긍정적인 강화, 그리고 감정을 존중하는 대화를 통해 아이들이 더 나은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가 모범을 보이고, 적절한 보상과 처벌을 통해 아이의 자기 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아이들과 대화의 시간을 충분히 가지며,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훈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주세요. 이를 통해 아이들은 스스로 자기 행동에 책임을 지고, 성숙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다가 아이들을 훈육을 해주시면은 아이들의 훈육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들과의 훈육에서는 일관된 규칙과 긍정적인 피드백이 중요합니다. 감정적으로 대응을 하기보다는 차분한 대화로 아이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면서 독립적이고 주도적인 성향들로 변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고집도 세지고 자기주장이 세지면서 말을 잘 안들을때가 많아지면서 감정싸움을 많이 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행동으로 인한 훈육을 할때는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기 보다는 아이의 눈을 보면서 아이의 생각을 먼저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하며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아이의 말을 듣고나서 말을 듣지 않는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차분한 목소리로 아이가 이해할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잘 들으면서 성장하면 더할나이 없이 좋겠지만 아직은 생각이나 행동이 미성숙할수 있습니다. 훈육은 올바른 행동을 하도록 가르쳐 주는 것이기 때문에 감정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대화로써 풀어나가시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과 열린 대화를 통해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규칙을 함께 정하세요. 칭찬과 긍정적 강화로 동기를 부여하고 일관된 태도로 훈육하세요.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독립적인 사고와 자율성을 기르려는 경향이 커지면서 부모의 말에 반항하거나 귀기울이지 않는 상황이 종종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변화는 아이들이 성장하는 자연스러운과정이지만 부모로서 어떻게 훈육을 하고 좋은 역할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아이들이 말할 때 먼저 듣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왜그렇게 생각하는지물어보세요 "왝렇게 생각해?"와 같은 질문을 통해서아이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있게 도와줍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해야할일과 하지말아야할 일을 분명히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을 설정할 떄

    "왜 그런 규칙을 지켜야하는지"도 함꼐 설명해주세요

    예를 들어서 "공부시간이 정해져있으면 그 시간이 끝나기 전에 집중해서 해야하는 이유는 너가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기 떄문이야"라고 설명하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이들 훈육을 할때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시면서 공감해주시기바랍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올바른길로 나가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지켜야 할 규칙을 미리 정해서 알려주세요

    그리고 일관성을 가지고 규칙대로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벌/훈육보다는 잘한 행동에 칭찬과 격려로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 시켜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