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생산을 많이 할수록 생산성이 줄어드나요?
총공급곡선을 보면 물가가 많이 올라도 국민소득이 높은 수준에서는 증가되는 생산량이 미미해지던데요. 기업이 생산성이 떨어지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계체감의 법칙때문에 똑같은 생산요소를 한단위 투입할때 똑같이 하나의 생산량을 얻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물론 일정 규모에서는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효과를 얻는 구간이 있겠지만 하나의 재화로 똑같은 한단위 재화를 투입하게 될 경우 한계 CAPA가 존재하며 그 CAPA를 늘리기 위해서 다시금 토지와 공장을 지어야하고 또한 이런 인플라를 위해서 추가적인 전기와 노동자투입을 지속적으로 해야합니다.
하지만 노동자들도 지속적으로 공급이 어렵고 지속적으로 생산을 늘리다보면 노동자들의 몸값이 증가하게 되고 전기인프라도 한계가 오므로 외부나 추가적인 전기 증설이 필요하고 이는 한단위당 생산비용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됩니다.
즉 경영자들은 생산량 즉 CAPA를 늘리기 위해서 어디까지 단위당비용이 절감되는 시점인지 그리고 어느시점부터 한계체감의 법칙이 작용하여 단위당생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구간인지 판단하여 의사결정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생산을 많이 할수록 생산성이 줄어드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추가적인 투입 요소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수확 체감의 법칙이라고 하는데, 이는 처음에 생산을 늘릴 때는 산출량이 크게 증가하지만,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하면 더 많은 자원 투입에도 불구하고 산출량 증가가 미미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또한, 생산 확대 과정에서 운영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더 많은 노동력과 자본을 동원하면서 관리와 조정이 복잡해지고, 조직 내 비효율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로 인해, 초기에는 생산을 늘리면서 생산성이 높아지더라도, 점차 그 효과가 줄어들고 생산 단가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생산을 감당할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기술적 한계가 있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더 두드러집니다.
자원 고갈 또는 품질 저하도 생산성 저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업이 특정 자원을 많이 사용하다 보면, 초기보다 질이 낮은 자원에 의존하게 되거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생산량을 늘리더라도 생산성은 떨어지게 됩니다. 이처럼 생산을 많이 할수록 생산성이 낮아지는 것은 다양한 경제적, 물리적 제약에서 비롯됩니다.'
1명 평가기업이 생산을 많이 할수록 생산성이 줄어드는 이유는 수확체감의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한계생산성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자원을 더 많이 투입해 생산을 늘리더라도 어느 시점부터 추가된 자원이 만들어내는 생산량이 점차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 노동자를 계속 추가해도 장비나 공간 등의 한계로 인해 한 명당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총공급곡선에서 물가가 올라가도 높은 수준에서 생산량 증가가 미미한 이유는 자원의 효율적 사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생산요소 투입 대비 생산량 관점에선 생산성이 올라가나,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오히려 과공급 및 수요 부족으로인해 가격이 떨어지는 측면에서 오히려 생산효율서이 떨어집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