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중국쪽에서 사막화 방지를 위해 노력한다는데 우리 나라 봄철 황사가 줄어들 수 있을까요?

봄만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황사때문에 안그래도 비염이 있는지라 너무 힘들더라고요. 황사가 심한 날에는 목도 칼칼하면서 눈도 따가운데 코는 또 답답하니 너무 죽겠더라고요. 중국쪽에서도 사막화 방지를 위해서 토지를 관리하는데 노력하고 있다고는 하던데 이게 혹시라도 중국 내 사막이 줄어들고 숲이 늘어나면,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황사의 양도 자연스럽게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생기더라고요. 물론 황사의 발원지가 워낙 넓어서 단기간에 효과를 보기는 어렵겠지만 만약 이게 장기간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 봄철 황사가 줄어드는데 기여가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현재 봄철 우리나라를 덮치는 황사의 경우 중국의 사막에서 모래바람이 한반도 까지 넘어와서 발생하는 것 입니다. 사막의 경우 관리를 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사막화가 진행되고 넓어지게 되는데 중국 차원에서도 국토를 관리하고 토지의 생산력을 강화하기 위해 두손놓고 쳐다볼수만은 없습니다. 그래서 사막화가 진행되는 곳에 더이상 확산이 되지 않도록 녹지를 계속 생성하고 있습니다.

    퇴경환림환초, 삼북방호림 이란 사업명으로 숲이나 초원으로 되돌리는 노력을 국가단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한반도의 황사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중국에서 사막화 방지를 위해 나무를 심고 토지를 관리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소식은 우리에게도 희망적인 부분입니다. 황사는 주로 몽골고원이나 고비사막 같은 넓은 건조 지대에서 발원하는데, 이러한 지역의 사막화가 진행될수록 황사 발생 가능성이 커집니다. 중국의 사막화 방지 노력은 바로 이 황사의 근원지에서 토양을 안정시키고 모래가 바람에 날리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물론 황사의 발생과 이동은 기상 조건 등 여러 요인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에, 중국의 노력만으로 황사가 완전히 사라지거나 단기간에 눈에 띄게 줄어들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꾸준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막화 방지 노력이 지속된다면, 황사 발원지의 상태가 개선되어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황사의 빈도나 강도를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중국은 최근 사막화 방지를 위해 나무 심기, 초지 복원 등 다양한 조림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먼지

    발생을 줄여 황사 발생 빈도를 낮출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하지만 단기간에 눈에 띄는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황사의 원인은 기후, 바람, 산업 활동 등 복합적이기 때문입니다. 장기적으로는 황사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황사의 발원지는 중국의 북부 지역 몽골 및 고비사막 주변 입니다.

    일부 지역의 사막화만 줄이는 것은 한계가 있어 보이며, 장기적으로 보자면 사막 지역이 줄어들고 숲이 늘어난다면

    황사가 양이 줄어들순 있습니다. 하지만 단기간에 효과를 보기에는 어렵고 매우 장기적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