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10.19

우리 나라는 언제부터 가정에서 제사를 지냈나요?

우리나라는 돌아가신 븐을 추모허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문화가 있는데요, 종교적인 이유로 국가에서 제사장이 제사를 지내는 경우 말고 지금처럼 개인이 조상들의 제사를 지냐게 된 건 언제부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중국의 주자학이 전래되면서 조상 제사 의식도 함께 유입되었으나, 당시에는 불교가 국교였으므로 제사가 널리 지내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고려 중기 이후 중국으로부터 유교가 유입되면서 조상에 대한 제사 의식은 지배 세력인 사대부를 중심으로 보편화되었고 점차적으로 일반 서민에게도 전파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제사의 시초는 무학대사가 이성계에게 효를 중요시 여기는 백성들에게 조상제사를 장려하면 백성들이 태조의 정권을 옳게 여길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러면서 제사가 급속도로 확산되어진 것입니다.

    유교를 국교로 삼은 이성계에 의해 조상제사가 민간에게 널리 장려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제사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한자 문화권 바탕에 한반도의 지역적 특성이 섞여 형성된 것으로 고대 중국 상나라의 왕조갑이 주변 토착신을 배제하고 조갑의 직계 조상만 섬기는 조상신 풍습을 만들었는데 이러한 조상을 섬기는 문화에서부터 제사가 시작됩니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행해진 제사는 중, 근세에 이르러 유교와 결합하며 조상숭배의 제도로 고착되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가에서 제사장이 제사를 지내는 경우는 고조선 때부터 이고 가정에서 제사를 지내게 된것은 삼국 시대에 들어 와서 자연신에게 제사를 드리던 것을 조상에게 제사를 드리기 시작 한 것으로 파악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