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풍성한고니128
풍성한고니12821.08.21

코로나백신 종류별 차이점이 궁금해요???

코로나 백신을 맞아야하는데 백신의 종류가 많아서요. 백신의 종류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그리고 왜 백신접종을 연령대로 나누어서 접종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모두 같은 기전(mRNA 방식)의 백신이고,
    접종과 관련된 이상반응(심근염, 심낭염), 접종 횟수,
    예방접종의 효과 등의 여러가지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확인되고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코로나19 백신
    모두 바이러스벡터 방식의 백신이기 때문에
    보관 방법, 백신 관련 이상반응(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그 외 여러가지 특징에서 화이자/모더나의 백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단, 앞으로의 연구 결과들이 종합 되어야
    더 정확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코로나19 접종 일정을 연령대 별로 나눈 것은
    그동안 백신 공급이 충분하지 않았던 점
    고령층이 감염의 고위험군이기 때문에
    우선 접종 대상으로 분류되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양한 코로나19 백신 종류를 잘 정리한 표 입니다.
    참고 하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125535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얀센, 노바백스 등의 백신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바이러스벡터 백신, 예방효율 60~70%, 2회 접종

    화이자- mRNA 백신, 예방효율 95%, 2회 접종

    모더나- mRNA 백신, 예방효율 94%, 2회 접종

    얀센- 아데노바이러스전달체 활용, 예방효율 66%, 1회 접종

    노바백스 - 합성항원, 예방효율89.3%, 2회 접종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전연령 : 화이자/모더나

    2.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 30세 이상 75세 이하

    -아스트라제네카/얀센의 경우 30세 이하 75세 이상이 접종하는 경우 혈전관련 부작용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화이자/모더나가 항체형성률이 좋기 때문 두 백신 접종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모더나는 mRNA 백신이고,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입니다.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혈전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90%대,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60%대 항체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고위험연령군부터 접종을 시작해서 연령대로 나누어 접종을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제약 상품명은 코미나타주, 모더나백신 상품명은 모더나코비드-19백신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상품명은 아스트라제네카코비드-19백신주, 얀센백신 상품명은 코비드-19백신얀센주이다.

    플랫폼은 화이자제약, 모더나는 mRNA백신이며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은 바이러스벡터 백신이다.

    mRNA백신은 특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RNA형태로 만들어 인체에 투여하는 백신이다.인체에 주입된 mRNA는 우리 몸의 세포에서 코로나바이러스 특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

    만들어진 스파이크 단백질을 우리 몸은 이물질로 인식하고 면역반응을 일으켜 이 기전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면역을 얻게 된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바이러스벡터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이 단백질(주로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 물질을 포함한 바이러스로 만들어진다.

    사용되는 바이러스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는 다른 바이러스로,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이 단백질의 유전물질을 포함한 벡터 바이러스가 인체에 들어오면,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이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이 우리 몸에서 만들어진다.

    ​인체는 만들어진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물질로 인식해서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면역을 획득하게 된다.

    출처 : 의학신문(http://www.bo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