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용감한큰고니206
용감한큰고니20621.04.27

영유아 갑자기 열이나는데 어떡하죠? ㅋ

갑자기 아이가 밤에 열이나면 어떡하죠

병원도 문닫고 응급실에 가야하나요

집에서 응급처치 하는방법은 업나요

아님 상비약만가지고도 안심이 안되네요

아이한테 혹시 안좋은약일수도있고

안전한 방법을 찾고싶어요

면역력이 낮아서 그런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38도 이상의 고열이 있는 경우 해열제 복용과 함께 열을 내리는 보조요법으로 테피드 마사지 법을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테피드 마사지란, 손수건이나 수건을 미지근한 물에 적신 후 물기를 잘 짜준 뒤에 이마나 몸을 부드럽게 닦아주는 방법을 말합니다.

    수분이 기화되면서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물을 너무 많이 적시거나 찬물을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목뒤나 등, 겨드랑이, 사타구니 같이 접히는 부분도 잘 닦아 주시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소아의 경우 성인보다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져 있으므로 무리하게 이불을 덮어주면 체온이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해열제 복용과 테피드 마사지 이후에도 고열이 지속되는 경우 내원하시어 진찰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영유아 시기의 체온상승은 주의깊게 관찰을 해야 합니다.

    37.5도 이하의 미열을 관찰을 주기로 하시고 그이상이 되었을때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해열제나 수건으로 열을 내릴수 있도록 해주셔야 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영유아는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에 의한 발열이
    성인과 비교했을때 흔한 편입니다.

    말씀대로 아직 세균/바이러스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능력이 완성되기 전이기도 하고,
    단체 생활(어린이집, 유치원 등)로 인해
    감염에 노출되는 경우가 잦기 때문입니다.

    아기의 컨디션이 양호하다면 준비해두신
    해열제(어린이용)를 복용하며 지켜보시고,
    다음날 아침에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열과 함께 경련이 동반되거나,
    발열이 좋아지지 않고 3-4일 이상 지속되거나,
    아기의 컨디션이 평소보다 많이 처지거나,
    기타 평소와 다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빠르게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아기가 건강히 잘 성장하길 기원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열이 나는 것 외에 다른 증상이 없고, 아이가 잘 먹고, 잘 논다면 해열제를 복용하고 열이 떨어지는지 지켜 봐도 됩니다. 상비약으로 충분합니다. 열이 떨어지지 않거나 아이가 축 처진다면 바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