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대단한친칠라280
대단한친칠라28023.02.23

절치부심의 뜻은 무엇이고 그 유래는 무엇인가요?

절치부심이라는 고사성어가 복수와 관련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정확한 의미와 고사성어의 유래는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3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절치부심은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몹시 분하여 마음이 쓰린 것을 말합니다.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 사람 형가는 식견이 뛰어나고 검술에 능한 자객으로, 연나라 태자 단(丹)의 식객이 되어 그의 충신이자 조언자 역할을 하였다. 태자 단은 진나라의 인질로 있다가 겨우 도망쳐 돌아온 것이어서 진나라 왕에게 보복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작은 제후국에 불과한 연나라에 비해 진나라의 힘은 너무 막강했다. 진나라가 점점 다른 나라의 땅을 잠식하면서 연나라 땅에 가까워져 오자 태자 단은 마음이 조급해졌다. 그래서 형가에게 천하의 땅을 빼앗고 천하의 왕들을 신하로 삼으려는 진나라 왕의 탐욕을 제지해야 한다고 하며, 진나라 왕에게 가까이 접근해 내부의 난을 조장하여 군신 간에 의심을 하도록 만들면 혼란에 빠진 진나라를 깨뜨릴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때 마침 진나라의 장군이었던 번오기(樊於期)가 진나라의 왕에게 죄를 짓고 연나라로 망명해 있었다. 곤궁에 처한 번오기를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태자 단이 불쌍히 여겨 받아준 것이었다. 진나라 왕이 번오기를 잡아들이려 재물을 내걸고 찾고 있었기에, 형가는 이를 이용하여 번오기를 진나라 왕에게 넘기면서 그에게 가까이 다가갈 기회로 삼자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태자 단은 스스로 자신에게 찾아온 번오기에게 차마 그럴 수 없다며 반대하였다. 형가는 태자 단의 마음을 알고 개인적으로 번오기를 찾아가 말했다.

    “진나라가 장군을 대우함은 매우 참혹합니다. 부모와 종족이 모두 죽거나 노비가 되었고, 지금 장군의 목에는 황금 일천 근과 만 호의 식읍을 내걸었다고 들었습니다. 장차 어찌하시렵니까?”

    이에 번오기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탄식하며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늘 그 생각만 하면 너무나 괴롭습니다. 그러나 어찌해야 할지를 모르겠습니다.”

    “지금 한마디 말로 연나라의 근심을 없애고 장군의 원수를 갚을 수 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장군의 목을 얻어 진나라 왕에게 바쳤으면 합니다. 그러면 진나라 왕은 분명 기뻐하며 저를 만나려 할 것입니다. 그때 제가 그의 가슴을 찌르겠습니다. 그렇게 장군의 원수를 갚고 연나라의 모욕을 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형가의 말에 번오기는 한손으로 팔을 움켜쥐고 다가가더니, “이는 제가 밤낮으로 이를 갈며 속을 썩이던 것입니다(此臣之日夜切齒腐心也). 이제 드디어 가르침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고는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다. 형가는 장군의 목을 상자에 담아 진나라로 향했고 진나라 왕은 기뻐하며 연회를 베풀어 주었다. 이에 형가가 왕 바로 앞까지 다가가 숨겨간 비수로 왕을 찔렀으나 몸에 닿지 못해 실패하였고 결국 그 자리에서 죽임을 당했다. 연나라는 5년 후 진나라 차지가 되었다.

    여기서 전하여 절치부심은 몸과 마음이 다 상할 정도로 분해 있는 상태, 마음에 새겨져 잊지 못하는 치욕을 씻어내고 싶어 안달이 난 모습 등을 가리킨다. 또는 승부 따위에 명예를 되찾기 위해 의지를 불태우는 마음가짐을 나타낸다. 같은 뜻의 성어로 절치액완(切齒扼腕), 와신상담(臥薪嘗膽), 회계지치(會稽之恥)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절치부심 [切齒腐心]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치부심의 유래는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썩인다는 뜻으로

    복수심에 불타는 사람의 태도 입니다.

    와신상담이랑 비슷합니다

    연나라사람 번오기에 관련되어 유래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치부심은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매우 화가 나고 분하여 속을 썩인다는 뜻입니다.

    사기 자객열전 형가 편에서 유래하는 말로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 사람 형가는 식견이 뛰어나고 검술에 능한 자객으로 연나라 태자 단의 식객이 되어 그의 충신이자 조언자 역할을 하였습니다. 태자 단은 진나라의 인질로 있다가 겨우 도망쳐 돌아온 것이어서 진나라 왕에게 보복하고 싶어했습니다. 그러나 작은 제후국에 불과한 연나라에 비해 진나라의 힘은 너무 막강했습니다. 진나라가 점점 다른 나라의 땅을 잠식하면서 연나라 땅에 가까워오자 태자 단은 마음이 조급해집니다. 그래서 형가에게 천하의 땅을 빼앗고 천하의 왕들을 신하로 삼으려는 진나라 왕의 탐욕을 제지해야 한다고 하며 진나라 왕에게 가까이 접근해 내부의 난을 조장하여 군신 간에 의심을 하도록 만들면 혼란에 빠진 진나라를 깨뜨릴수 있을것이라고 합니다.

    마친, 진나라의 장군이었떤 번오기가 진나라의 왕에게 죄를 짓고 연나라로 망명해있었는데 곤궁에 처한 번오기를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태자 잔이 불쌍히 여겨 받아줍니다.진나라 왕이 번오기를 잡아들이려 재물을 내걸고 찾고 있었기에 형가는 이를 이용하여 번오기를 진나라 왕에게 넘기면서 그에게 가까이 다가갈 기회로 삼자고 제안합니다. 그러나 태자 단은 스스로 자신에게 찾아온 번오기에게 차마 그럴 수 없다며 반대합니다. 형가는 태자 단의 마음을 알고 개인적으로 번오기를 찾아가 말합니다.

    진나라 장군을 대우함은 매우 차혹합니다. 부모와 종족이 모두 죽거나 노비가 되었고 지금 장군의 목에는 황금 일천 근과 맘ㄴ 호의 식읍을 내걸었다고 들었습니다. 장차 어찌하시렵니까?

    이에 번오기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탄식하며 눈물을 흘리며 말합니다

    늘 그생각만하면 너무나 괴롭습니다. 그러나 어찌해야 할지를 모르겠습니다.

    지금 한마디 말로 연나라의 근심을 없애고 장군의 원수를 갚을 수 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장군의 목을 얻어 진나라 왕에게 바쳤으면 합니다. 그러면 진나라 왕은 분명 기뻐하며 저를 만나려 할 것입니다. 그때 제가 그의 가슴을 찌르겠습니다. 그렇게 장군의 원수를 갚고 연나라의 모욕을 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형가의 말에 번오기는 한손으로 팔을 움켜쥐고 다가가더니 이는 제가 밤낮으로 이를 갈며 속을 썩이던 것입니다. 이제 드디어 가르침을 받게되었씁니다 하고는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습니다.

    형가는 장군의 목을 상자에 담아 진나라로 향했고 진나라 왕은 기뻐하며 연회를 베풀어 주었고 이에 형가가 왕 바로 앞으로 다가가 숨겨간 비수로 왕을 찔렀으나 몸에 닿지 못해 실패하고 결국 그자리에서 죽임을 당했고 연나라는 5년 후 진나라 차지가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은경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절치부심 (切齒腐心)은 분해서 이를 갈고 마음을 썩힌다는 뜻으로 같은 의미로 절치액완(切齒扼腕), 와신상담(臥薪嘗膽), 회계지치(會稽之恥) 등이 있다.

    절치부심은 중국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의 자객열전(刺客列傳)에서 유래했다.

    중국의 전국시대 진(秦)나라에 번어기(樊於期)라는 장수가 정왕(훗날 진시황秦始皇)의 노여움을 사, 연(燕)나라로 도망갔다.이에 분노한 정왕은 번어기의 부모와 그의 가족 모두를 죽이고 그를 잡기 위해 많은 현상금을 걸었다. 번어기는 정왕에게 복수하고자 원수를 갚기 위한 궁리를 하던 중 형가(荊軻)라는 사람이 “장군의 목을 내게 주면 정왕을 찾아가 목을 바치고 신임을 얻은 후, 원수를 대신 갚아 주겠습니다.” 라고 제안하였다. 형가의 말에 번오기는 “이는 제가 밤낮으로 이를 갈며 속을 썩이던 것입니다(此臣之日夜切齒腐心也). 이제 드디어 가르침을 받게 되었습니다!” 하고는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다. 형가는 장군의 목을 상자에 담아 진나라로 향했고 진나라 왕은 기뻐하며 연회를 베풀어 주었다. 이에 형가가 왕 바로 앞까지 다가가 숨겨간 비수로 왕을 찔렀으나 몸에 닿지 못해 실패하였고 결국 그 자리에서 죽임을 당했다. 연나라는 5년 후 진나라 차지가 되었다.

    절치부심은 몸과 마음이 다 상할 정도로 분해 있는 상태, 마음에 새겨져 잊지 못하는 치욕을 씻어내고 싶어 안달이 난 모습 등을 가리킨다. 또는 승부 따위에 명예를 되찾기 위해 의지를 불태우는 마음가짐을 나타낸다.

    (출처: 두산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성어로 ‘절치부심(切齒腐心)’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끊을 절(切)’, ‘이 치(齒)’, ‘썩을 부(腐)’, ‘마음 심(心)’자를 써서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한자성어로 ‘와신상담(臥薪嘗膽)’이라는 것도 있지요. 이것은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해서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디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치부심"은 자신의 능력이나 재능 등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보통 자신이 가진 능력이나 재능을 자랑하거나, 자신의 성과를 자랑하며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의 유래는 중국의 전래동화 '백설공주'에 있습니다. 이 동화에서 매우 아름다운 여성이 자신이 가진 아름다움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매일 거울 앞에서 "나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결국 이 여성은 자신의 자부심과 자신감 때문에 화를 일으키고, 그녀를 도와준 일곱 난쟁이들에게 구조를 받아야 했습니다. 이 동화에서 "절치부심"은 이 여성이 가진 아름다움에 대한 자부심과 자신감이, 결국에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비판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후 이 용어는 "과도한 자부심"을 비판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절치부심(切齒腐心)은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인다'는 뜻으로

    '매우 분하여 벼르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몹시 분해서 이를 갈고 마음을 썩힘을 뜻하는 말로, 매우 분하여 복수심으로 이를 갈며 벼르는 모습을 뜻한다.당한 것을 갚아 주기 위해서는 부들부들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절치부심"은 자신의 능력이나 업적에 대한 큰 자부심과 자신감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의 유래는 조선 시대의 문신인 안중근(1879-1910)이 남긴 유서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안중근은 일제 강점기에 독립운동을 이끌던 지도자였습니다. 그는 일제의 체포를 피해 매우 깊은 산골로 숨어들어, 1910년 4월 26일 국외에서는 아직 국내에서는 대한제국의 유일한 군사기술교육기관인 평양 훈련소를 폭발시켜 일제에 대한 국민의 깨어짐과 항쟁의 확산을 노려보았습니다. 그러나 작전은 실패하였고, 안중근은 체포되어 형사재판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안중근은 형사재판에서 "절치부심"이라는 말을 남겨, "나는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독립을 위해 목숨도 바쳤으며, 이러한 나의 업적이 후세에 불멸의 업적으로 기록될 것이며, 나는 나의 절치부심에 의해 살았고, 나의 절치부심에 의해 죽을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후 안중근의 이 말이 자주 인용되면서 "절치부심"이라는 표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이제는 자신의 업적이나 능력에 대한 큰 자부심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