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7.24

인도의 쿠샨 왕조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고대 인도의 쿠샨 왕조는 어떤 왕조였는지 궁금합니다.

인도가 쿠샨 왕조일 때 중국은 한나라였던게 맞나요?

인도는 쿠샨 왕조였을 때 실크로드가 생겼던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 무제의 명을 받들어 대 흉노 격멸을 위해 공수동맹을 체결하고자 장건이 찾아갔던 대월지를 의미하는데 즉 이란계의 샤카족(스키타이) 또는 토하리족의 한 분파에서 시작하여 전성기인 카니슈카 1세 때에는 중앙아시아부터 아프가니스탄과 북인도까지 통일한 제국을 지칭한다.


    흉노에게 밀려난 월지족의 5개의 가문이 이 박트리아를 통치하고 있었는데, 그중 한 가문인 귀상(霜貴)가문의 쿠줄라 카드피세스가 이들을 통합하고 인도로 진출하여 왕국을 세우는데 이 귀상 가문의 이름을 따 쿠샨 왕조라고 부른다.


    동서 중계 무역으로 번성했다. 그 후 카니슈카왕은 사방으로 영토를 넓히는 등 쿠샨왕조 전성기를 이루어 간다라 미술 등 특색 있는 문화를 형성하였으며, 대승불교도 이 때 성립 발전하였다.


    그러나 226년 파르티아 대신에 사산왕조페르시아가 이란에서 발흥하여 아프가니스탄을 병합하자 쿠샨왕조는 그의 속국이 되었다가 240년경 사산 왕조의 페르시아에게 멸망했다. 쿠샨 인들은 불교가 파르티아, 중앙아시아, 중국으로 퍼져나가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들이다.

    브라만교에서는 외부인이 브라만교로 유입될 경우 낮은 카스트를 부여받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인도 입장에서는 외부세력인 그리스인들과 인도-스키타이인들, 쿠샨의 토하라 인들이 불교로 개종하면서, 중앙아시아로 불교가 급속히 전파되었다.


    또한 쿠샨 왕조는 무역을 통한 세수 증대를 목적으로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해안 지방, 인도 북부를 아우르는 도로망을 건설하고 안전하게 관리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호라산, 트란스옥시아나와 인도 북부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오늘날 우타르프라데시와 비하르 지방이 잉여 농산물을 수출하며 특히 많은 혜택을 보았다. 쿠샨 왕조는 주화나 불상 같은 유물 이외에 자체적인 문헌 기록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 정확한 역사를 재구하기 힘들다.


    왕조의 중심 영역은 중앙아시아의 페르가나, 소그디아나(사마르칸트 일대) 지역에서 토하리스탄(박트리아), 힌두쿠시 산맥을 거쳐 간다라와 인도 북부 지역에 걸쳐 있었으며 남서쪽의 이란을 지배하던 파르티아와 국경을 접했는데 양국의 관계가 어땠는지는 확실치 않다.

    출처 : 투르크 인문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쿠샨이란 말은 중국어 귀상에서 왔고 귀상은 쿠샨의 월지족 민족 중 하나를 말하는 거라고 합니다. 로마 2세기에도 쿠샨 관련기록이 나오고 후한서에도 로마와 통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영향력은 큰것 같스빈다

    쿠샨은 기원전 78~ 기원후 226이고, 한나라는 기원전 202 ~ 기원후220 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어느정도 시기가 겹치긴 합니다.

    실크로드라는거 자체가 넓은 의미로는 문명간의 교류 및 이동이라 거의 빙하기 끝난 후에 인류가 이동하기 편할때도 얘기하고, 좁은 의미로는 기원전 8~9세기 부터 근대까지 동서양간의 문명 교류통로를 말합니다. 그래서 쿠샨때 실크로드가 만들어졌다고는 보기 힘들지만, 이때 실크로드(중국,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를 통한 교류도 많았기 때문에 관련은 깊다 할 수 잇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큐샨 왕조는 기원 전후부터 3세기 중엽까지 인도 북서부에서 중앙아시아를 지배한 왕조로 쿠샨은 중국어로 월지족의 5제후 가운데 하나인 귀상에서 나온 것입니다. 쿠샨 왕조는 아무강 상류에서 일어나 독립하여 대월지국을 대신해 투르키스탄으로부터 북서부 인도 일대를 지배했습니다.

    전성기는 카니슈카왕시대로, 당시 북쪽의 소구디아나로부터 남쪽의 중인도까지 지배, 동쪽은 동투르키스탄으로 진출해 동서교역의 실권을 장악했습니다.

    왕의 보호에 의해 대승불교가 번영했고 간다라 불교 미술이 융성했으나 240년경 사산 왕조의 페르시아에 의해 멸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