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통사적 복문에 해당하는 속담이 무엇이 있을까요?
중학교에서 국어 ppt를 준비하는데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요 ㅠ 아시는 분을 찾습니다.. 믿을만 하신 분
혹시 추가로 통사적 중문에 포함되는 속담에 "입은 거지는 먹어도,벗은 거지는 못 먹는다가" 포함되는게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통사적 조화를 보이는 속담은 모두 중문이나 복문이 있는 긴 문장의 속담입니다. 중문은 '이어진 문장'으로 복문은 '안은 문장'으로 중,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용어를 바꾸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연결어미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문장이 이어진 경우(대등하게 또는 종속적으로)와 하나의 문장이 다른 문장을 문장성분으로 안은 형태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질문하신 '입은 거지는 먹어도, 벗은 거지는 못 먹는다.'는 이어진 문장(중문)으로 이루어진 속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예로는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