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되알진치와와155
되알진치와와155

눈이올때는 왜 번개가 치지 않는건가요?

비가올때는 번개와 천둥이 칠때가 있는거같은데

눈이올때는 번개가 치는걸 본 적이 없는거같아요

왜 눈이올경우에는 번개와 천둥이 치지 않는건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작은 얼음알갱이로 구성된 구름이 발달하고 영하의 온도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름의 고도 도 높아져야 합니다

      이러한 고도의 구름은 상충운이나 중층운인데 이는 번개와 천둥이 치는 조건에 해당되지 않아 눈이 올때는 번개와 천둥을 보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구름 내부의 습도가 높아야 합니다.하지만 눈이 내리는 날에는 구름 내부의 습도가 비 오는 날에 비해 낮아 번개가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내릴 때에도 번개는 발생할 수 있지만 발생 횟수가 크게 줄어듭니다.

      그 이유는 지표면 온도 때문입니다. 지표면의 온도가 높으면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그 과정에 전하가 분리되며 번개가 발생하지만, 눈이 내리는 경우 지표면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상승기류가 발생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번개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올 때 번개와

      천둥이 치지 않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요인 때문입니다.

      번개와 천둥이 발생하는

      구름은 적란운이며

      눈이 내리는 구름은 상층운

      중층운이고

      적란운은 매우 발달된 구름으로

      상승 기류가 강하고 구름 내부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전기장이 방전되면서

      번개가 발생하고 번개로 인해

      발생하는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공기가 팽창하여

      천둥 소리가 발생합니다.

      반면 눈이 내리는 구름은 상층운이나

      중층운과 같이 비교적 발달이

      덜 된 구름입니다.

      이러한 구름은 상승 기류가 약하고

      구름 내부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번개와

      천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번개 발생 조건은 영하 15°C 이상이며

      눈 발생 조건은 영하 0°C 이하이고

      번개는 구름 내부의 물방울과

      얼음 입자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가 방전되면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영하 15°C 이상의

      온도에서 발생하며 영하 0°C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눈이 내리는 경우 대부분

      영하 0°C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번개가 발생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극도로 추운 환경은 적란운이 형성되고

      영하 15°C 이상의 온도가

      유지되는 경우 눈과 함께 번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눈과 함께

      번개가 발생하는 경우가 더 빈번할

      수 있습니다.

      눈이 올 때 번개와 천둥이 치지

      않는 이유는 주로 구름의 형태와

      기온 때문입니다.

      드물게는 극도로 추운 환경이나

      특정 지역에서는 눈과 함께 번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