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2.12.20

물에서 얼음이 뜨는 이유 과학적 설명이 필요합니다

남극이나 북극을 보면 바닷가에 얼음이 떠다니는 것을 볼수 있는데 물위에 얼음이 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얼음에 공기가 들어있어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0

    얼음은 고체로 되면서 밀도가 작아지는 특이한 성질의 물질입니다.

    물은 얼게 되면 부피가 팽창하고 분자간의 간격이 벌어져 밀도가 작아지게됩니다.

    하여 단위면적당 물보다 무게가 작아 부력이 발생되고 물위에 뜨게 됩니다.


  • 물은 4도 온도에서 밀도가 가장 무겁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얼음은 0도이하이므로 밀도가 가볍습니다.

    따라서 물에 뜨게 됩니다.

    얼음이 형성되면서 물의 고체 배열 내부에 빈 공간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밀도 차이 때문입니다. 과학적으로 물의 밀도보다 얼음의 밀도가 가볍기 때문에 물위에 얼음이 뜨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 분자 사이의 공간을 늘리게 됩니다. 이 때문에 물보다 밀도가 약 10% 정도 낮아지게 되고 물에 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과학적 이유

    어떤 혼합물에서 각 물질을 구성하는 구성성분들의 단위 부피당 질량, 즉 밀도가 낮으면 가라앉지 않고 떠 있습니다.

    쉬운예로 물에 쇠구슬을 넣으면 물에비해 밀도가 높은 쇠구슬은 바닥으로 가라앉습니다. 즉 쇠구슬이 차지하는 물의 부피만큼 물을 위로 밀어내는 것이지요

    기본적으로 물체가 어떤 유체위에 떠 있기 위해서는 자신의 무게와 같은 액체의 무게를 밀어낼수 있어야 합니다. 이와 반대로 물에 기름을 넣으면 물에비해 밀도가 낮은 기름이 떠있으며 쇠구슬의 예와 반대로 생각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각 물질을 구성하는 구성성분들의 단위부피당 질량, 즉 밀도가 낮으면 가라앉지 않고 뜨는 원리 때문입니다.

    물이 얼면 부피가 커지고 그만큼 밀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