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도덕적인허스키40
도덕적인허스키40

드물므로가 맞나요 드무므로가 맞나요?

형용사 드물다의 활용형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므로 와 같이 사용한다면, '드물므로'로 표현하는 것이 맞는지, ㄹ을 탈락시켜 '드무므로' 로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드물므로는 방언이라고 합니자 ㄹ 탈락도 이야기하는데 드물므로 로 사용해도 되는것 같습니다.


    둘다 사용하는데 이상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구글링 하시어 연구부탁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드물다 - 활용형/ 드물어 (드무러) 드무니(드무니) 드무로(드무오)

    어원/ 드물다

    형용사

    1어떤 일이 일어나는 일이 잦지 아니하다.

    2공간의 사이가 좁지 아니하고 어느 정도 떨어져있다.

    3흔하지 아니하다

    드물다의 뜻풀이에서 1번은 시간적 거리, 2번은 공간적 거리, 3번은 횟수에 대한 것으로 힘들다와 마찬가지로 명사형으로 바꿀때 어미 -므로 가 붙을때는 받침 탈락 없이 드묾, 드물므로로 활용하고 어미 -ㅂ니다 가 붙으면 받침이 탈락하여 드뭅니다 로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형용사 '드물다'는 활용 시 어간과 어미 중간에 'ㄹ'이 들어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맞는 표현은 '드물므로'입니다.

    '드무므로'는 잘못된 표현이며, '드물다'의 활용형을 사용할 때에는 'ㄹ'이 들어가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예시)

    - 이 영화는 드물게 재밌었어요.

    - 지난 여름처럼 더운 날씨가 드물지 않을까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드무므로가 맞는 답입니다. 예문을 하나 들어 볼게여.

    예문) 마스크를 안써서 코로나에 걸리는 경우는 이제 극히 드무므로, 사람들은 공공장소에서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