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26

조선시대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 담긴 역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태종이 만든 세계지도는 강리도라고 불리며 전체 이름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라고 불리워 지고있는데요.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인상깊게 보았던 역사사료이기도 합니다. 이 지도에 담긴 당시의 역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역사적 가치 및 의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지도를 통한 동서 문화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로 평가되었다. 중세 이슬람의 지도학이 중국으로 유입되고 그것이 조선에서 변형된 형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다. 중세 이슬람시대에는 광활한 제국을 통치하기 위해 고대 로마의 지도학을 수용하여 지리학·지도학을 발전시켰다. 특히, 유라시아 대륙을 제패했던 몽골제국의 문화 전파가 지도 제작에 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지도에는 서남아시아의 아라비아 반도가 길쭉하게 그려져 있고, 유럽의 지중해와 이베리아 반도 등도 표현되어 있다. 무엇보다 15세기 초에 아프리카 대륙이 실제 지형과 거의 비슷하게 그려졌다는 것은 경이롭습니다.

    하지만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이슬람 지도학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현재 전하는 이슬람의 세계지도와는 또 다른 특징들을 갖고 있다. 이슬람 세계지도는 남쪽을 지도의 상단으로 두는 반면,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북쪽을 상단으로 배치하였습니다. 또한 이슬람 지도에서는 아프리카 남단을 동쪽을 향하도록 그리지만, 「혼일강리역대국도」에서는 지금의 실제 모습에 가깝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미 중국에서 수정된 내용으로 그려졌던 「성교광피도」를 바탕으로 하여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지금의 모습에 가까운 지도를 제작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그 당시 세계의 가장 정확한 지리 정보를 담은 지도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지도는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의 고지도이며, 신대륙이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이전의 지도로서 세계적으로도 의의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지도라는 점에서 큰 역사적 의의가 있습니다. 온 세상의 영토와 역대 왕조들의 수도를 한데 그려 넣었으며, 조선·중국·일본의 동북아시아 지역 뿐 아니라 서남아시아, 아라비아 반도, 아프리카, 유럽 등지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신대륙이 발견되기 이전의 세상, 즉 당시 인류가 알고 있던 세계를 거의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 세계지도와 비교했을때도 그 모양과 측정에 있어 크게 다름이 없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 여러 세계지도들을 참고하면서 그릴 정도로 정확한 지리정보를 담고자 노력한 지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지도, 지리학의 선구자였던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동서 교류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점도 의미가 있습니다.

    추가로 덧붙이면, 현전하는 4점의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모두 태종 2년에 제작된 원본 지도의 필사본으로 모두 일본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있는 규장각 소장본은 일본 류코쿠 대학본의 사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시대 혼일강리역대국지도는 조선왕조 개창 초기에 제작된 세계지도로, 당시 조선의 대외 인식과 지리적 지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물입니다.


    혼일강리역대국지도의 역사적 의의는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세계 지리 지식의 집대성: 혼일강리역대국지도는 중국의 《성교광피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지만, 조선의 지리학자들이 직접 현장을 답사하고 수정하여 당시 세계의 지리적 지식을 집대성한 지도입니다. 이 지도에는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까지의 지역이 상세하게 표기되어 있어, 당시 조선의 지리적 지식이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세계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혼일강리역대국지도는 조선의 대외 인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 지도에는 조선을 중심으로 세계의 각 지역이 등고선과 함께 표기되어 있어, 조선이 세계의 다른 지역과 교류하고자 하는 개방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지도학의 발전: 혼일강리역대국지도는 조선 지도학의 발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이 지도에는 당시 조선의 지도 제작 기술이 상당히 발달했음을 보여주는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이 지도에 사용된 육각형 격자 분할법은 조선 지도학의 독창적인 기법으로, 이후 조선 지도 제작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혼일강리역대국지도는 조선시대의 과학 기술과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