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비상한꿀벌
비상한꿀벌

유럽의 집들의 지붕은 왜 빨간색인가요?

안녕하세요, 포르투갈, 스페인 발칸반도 등 많은 유럽 국가의 집들을 보면 빨간색인 경우가 많더라고요. 심지어는 법적으로 그렇게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고요. 왜 하필이면 많은 색깔 중에 빨간색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도도한듀공33
    도도한듀공33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왜냐하면 동유럽의 토질은 라테라이트토(=메마른땅)으로 농경에는 안좋은 땅이지만, 벽돌의 재료로는 좋습니다. 그래서 쉽게 구할수있는 흙으로 진흙을 만들어서, 지붕으로. 사용하고, 테라코타(= 점토를 구운것)라는 기법으로 구워서 지붕을 만들었습니다.


    유럽은 옛건물을 허물지않고, 잘 보존하기때문에, 쉽게 유럽의 집 지붕들이 빨간색인것을 쉽게 찾아볼수있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의 지붕이 빨간 이유는 간단 합니다. 흙으로 기와를 구우면 빨간 색이 됩니다. 색이 좀더 짙거나 연하거나 될수는 있지만 대개 유사한 빛깔이 나오게 되지요.

    우리나라도 한옥 집을 보면 검정색의 빛깔이 많았지요? 색상의 차이만 있지 같은 이유 입니다.

    누군가는 2차대전때 독일 군들의 공중 공습을 피하기 위해서 민간인 집을 표시하기 위해서 라고 하는데 그건 말이 안됩니다. 왜냐하면 이 붉은 기와는 2차대전 이전부터 존재하던 것이기 때문 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럽의 지붕이 붉은색인 이유는 우리나라의 한옥 기와와 비슷한 이유로 생각합니다

    흙으로 기와를 구우면 빨간색으로 변색되어지기 때문입니다

    훍의 성분에 따라 빨간색이 짙어지거나 흐려지지는 차이만 존재할 뿐입니다


    혹자는 세계대전 중 폭격을 피하려 민간인이 살고있다는 걸 알리기 위해 붉게 칠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럽의 지붕은 대부분 흙으로 기와를 굽습니다.

    흙으로 기와를 구우면 이런 빨간 색깔이 됩니다.

    흙의 성분에 따라 빨간색이 짙거나 연한 차이는 존재하지만 대개 유사한 빛깔이 되는 겁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