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딥시크는 현재 진실이 어느정도라 할 수 있나요?
중국의 딥시크발 미국 나스닥도 휘청이고 증시가 많이 빠졌는데
딥시크에 대한 말들이 많더라구요
비용이 적게 들어간 것이 아니다 뭐 다른 문제들이 있다 등
현재까지는 많은 말들이 존재하던데
딥시크에 의한 증시, 가상화폐장의 충격은
이제 끝났다고 볼 수 있나요?
아니면 아직 현재 진행형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딥시크와 관련된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그로 인한 증시와 가상화폐 시장의 충격도 완전히 끝났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여전히 불확실성을 감안하고 시장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시점입니다. 단기로 끝날거 같기도 하네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딥시크발 주식이랑 가상화폐시장 조종은 끝난거 같지만 트럼프가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캐나다 멕시코 25프로 중국 10프로를 확정했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지금 주말에 가상화폐시장은 꽤 밀리고 있고 월요일 개장과 동시에 주식시장에도 영향이 클거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딥시크는 주요 테크 전문가들은 다소 과장되었다고 보고 있고 실제 개발비를 축소하거나 그정도고 고성능은 보이지 않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구체적인 것은 더 시간이 소요될것으로 보이긴 하나 단순 노이즈는 아니기 때문에 시장 후폭풍은 여전히 진행중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유료로 오픈AI의 챗GPT를 사용하는 저는 금번 딥시크를 직접 사용해보고 큰 차이가 없음을 실제로 느꼈는데요.
엔비디아 저효율 칩 H800을 사용했음에도, 이정도의 성능을 낸다는 것은 사실상 엔비디아에는 큰 충격이 아닐 수가 없는데요.
당분간 딥시크에 의한 가상화폐 시장 및 주식 시장에 타격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기에 관련주 투자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딥시크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해도 실제 개발된 서비스는 이미 GPT를 뛰어넘은 분야가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즉 그 과정이 어찌 되었든 AI 경쟁에서 미국이 초격차를 벌이지 못했고 오히려 중국이 앞지르고
있다는 것은 큰 부담으로 작용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딥시크의 충격은 증시에 남아있고 그 방향을 정하지 못한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인공지능 ai인 딥키스는 미국의 gpt보다 저렴한 개발비와 사용료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 미국의 주가하락등이 발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의 딥시크(DeepSea) 이슈로 인해 미국 나스닥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와 가상화폐 시장이 큰 충격을 받았지만, 이것이 완전히 끝났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먼저, 딥시크가 단순한 비용 문제만이 아니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초기에는 "비용이 저렴한 기술"이라는 기대감이 컸지만, 실제로는 기술적 한계, 안정성 문제, 글로벌 규제 우려 등이 부각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커졌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이 딥시크 기술에 대한 대응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하면서, 향후 규제 강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증시 측면에서는 딥시크 이슈가 촉발한 하락이 단기적으로 과도했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여전히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충격이 완전히 끝났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투자자들이 이 기술의 실제 영향을 분석하고 있는 과정이며, 앞으로 추가적인 발표나 규제 움직임이 시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가상화폐 시장 역시 딥시크 이슈 이후 급락한 상태에서 일부 반등이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주요 코인들은 대체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딥시크가 가져올 잠재적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딥시크로 인한 1차 충격은 어느 정도 지나간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추가적인 기술적 검토, 규제 리스크, 글로벌 시장의 반응 등이 남아 있어 아직 현재 진행형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추가적인 뉴스나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이 다시 출렁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계속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 하신 대로 딥시크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분분합니다. 페이스북의 메타의 경우 3개 팀의 워룸(war room)을 만들어서 딥시크를 철저히 분석하고 벤치마킹을 한다고 합니다.
기존 하이엔트 AI 챗봇의 10% 투자비로 만들었다는데 현재 고성능 반도체 수입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면 과장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딥시크는 탑티어 서구 업체들에는 충격이지만 후발 주자들에게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한국 기업들도 딥시크를 철저히 분석하여 AI 시대를 대비해야 할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딥시크의 각종 의혹은 지금 조사중이지만 중국기업이다보니 쉽사리 확인이 안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딥시크의 충격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고성능을 냈다는 것이 거짓이라는 증거가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