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소방시설 중 프리액션 밸브의 동작원리
소방시설 중 스프링클러 관련 설비를 보면
드라이밸브 및 알람밸브 설비가 있습니다만
요즘은 프리액션 밸브라고 설치되는 경우가 많이 보입니다.
이 프리액션 밸브는 건식인지 습식인지
이 밸브의 동작원리와
장단점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스프링 클러 설비는 헤드의 종류에 따라서 개방형과 패쇄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패쇄형에는 건식, 습식, 준비작동식 밸브로 나누어지고 이중에 준비작동식 밸브가 바로 프리액션밸브입니다. 프리액션밸브는 1차측에 가압수가 채워져 있고 2차측에는 대기압으로 채워져 있어서 화재 감지되어서 수신기에 신호가 오면 준비작동 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각 헤드에 송신 후 열에 의해서 펌프가 작동되면서 가압수가 개방되어 살수가 되는 원리입니다.
준비작동식밸브라고도하는데요 개방방식에따라 싱글,더블,논 인터록으로 구분할수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주로사용되는 싱글타입으로설명드리자면 비정상적개방에도 프리액션밸브가 개방되지않기때문에 수손피해는 발생하지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배관이나 헤드가 파손되었음에도 문제를인식할수 없다는단점이있습니다 화재발생구역에 소방수가 배출되어야하는데 엉뚱한곳에 쏟아질수도있습니다 답변이조금이나마도움되셨으면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