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도롱이
도롱이24.02.21

비가 수직으로 내리지 않는 건가요?

비가 내리는 걸 보면 분명 우산으로 비를 막고 있다고 생각해도 옆으로 맞아서 옷이나 바지가 젖기도 하더라고요. 비가 수직으로 아래로 내리는 게 아닌 건지, 분명 오는 걸 보면 아래로만 내리는 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잘아시겠지만 대기중 바람의 기류는 계속 움직이고 비는 대류의 이동으로 바람의 영향을 받아 방향은 달라지잖아요.

    전체적인 방향은 아래 방향인데 면밀히 따져보면 바람의 영향으로 사선으로 내리기도 하잖아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수직으로 내리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비는 대기 중에서 떨어지는 동안 바람에 의해 옆으로 밀려날 수 있습니다.즉, 바람이 비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비가 수직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죠.

    또는 기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올라 상승 기류가 되는 속도보다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밑으로 파고 들어가 따뜻한 공기를 위로 올리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랭전선에서 수반된 상승 기류는 오히려 비를 더욱 빠른 속도로 상공으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는 것을 보면 우산으로

    막고 있더라도 옆으로

    맞아 옷이나 바지가 젖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비가 항상 수직으로 아래로 내리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여 빗방울이

    옆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바람 바람은 빗방울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장

    큰 요인입니다. 바람이 강할수록 빗방울은

    더욱 옆으로 움직입니다.

    지형 언덕이나 산과 같은 지형은 빗방울의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빗방울은 지형을 따라 굴러 내려가면서 옆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온도 빗방울이 땅에 닿기 전에 따뜻한 공기층을 만나면 증발

    하여 작아질 수 있습니다.

    작아진 빗방울은 바람에 더 쉽게 움직여 옆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우산의 형태 우산의 형태는 빗방울을 막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우산이 둥글고 넓을수록 더 많은 빗방울을

    막을 수 있지만 바람에 더 쉽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빗방울의 낙하 속도는

    빗방울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빗방울이 클수록

    무거워서 더 빠르게 떨어집니다.

    바람이 강하거나 지형이 경사진 경우에는 빗방울의 크

    기와 무게에 관계없이 옆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비가 옆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우산을 바람 방향에 맞춰

    기울여 사용하면 더 효과적으로

    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폭이 넓고 튼튼한 우산을 사용하면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더 많은 빗방울을 막을 수 있습니다.

    비는 항상 수직으로 아래로 내리는

    것은 아니며 바람 지형 온도 우산의 형태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여

    빗방울이 옆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비가 옆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우산을 사용하더라도

    옷이나 바지가 젖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