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우람한아비10
우람한아비1023.08.21

비가 내릴 떄 비의 색과 비의 모양이 눈에 보이는데요.

결국 비는 완전한 투명색이 아닌 게 맞을까요?

또 비의 색깔은 우리가 사용하는 물의 색과 거의 동일한지? 아니면 하늘에 있는 이물질들이 함께 내려오기 때문에 다른 색으로 내리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는 완전한 투명색이 아닙니다. 비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부유물, 미세한 입자들이 비에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흐릿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 자체는 물의 색과 거의 동일합니다.

    비의 색깔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이물질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습도가 높을 때 비가 내리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물분자들이 많아져 비가 투명한 색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나 미세한 입자들이 많을 때는 비가 흐릿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떠다니는 이물질들이 비에 혼합되어도 비는 거의 투명한 색상을 띱니다. 따라서, 비의 색깔이 우리가 사용하는 물의 색과 거의 동일한 이유는, 비가 거의 투명한 색상을 띄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일반적으로 빛을 산란시키고 푸른빛만을 내보내기때문에 약간 푸른색을 가지고있습니다.

    특히 빗방울처럼 작은경우 반사나굴절 특성도 나타나 빛이 하얀밝은색으로 보이기도합니다.


  • 비의 색과 모양은 주로 주변 환경 및 조명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비의 색과 모양은 빛의 산란과 굴절 등의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비의 색: 일반적으로 비는 무색 또는 투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때로는 햇빛이나 조명의 영향으로 인해 무지개색 같은 색조를 띠기도 합니다. 이것은 빛이 물방울을 통과하거나 반사하여 분산되는 현상 때문입니다. 비가 물방울을 포함하고 있을 때, 빛의 스펙트럼이 물방울에 반사되고 굴절되면서 무지개색의 스펙트럼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비의 모양: 비의 모양은 비의 크기와 물방울의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작은 비는 대개 공기 저항에 의해 둥그렇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으며, 대형 비는 빠르게 떨어져서 더 길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바람이나 공기 저항에 의해 비가 분산되어 일부는 흩어지거나 더 넓은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비의 모양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의 색과 모양은 빛의 상호작용 및 물방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1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의 색깔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물의 색과 거의 동일한 투명한 색상입니다. 이것은 비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방울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비가 내리면서 땅이나 다른 물체에 닿을 때 불순물이 섞이기도 하지만, 하늘에서 떨어지는 순간에는 대부분 투명한 색상을 띠고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하늘에 떠 있는 이물질들이 함께 내려와 비의 색깔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기 중에 큰 먼지나 강수량이 많은 때에는 비의 색깔이 약간 탁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대기 중의 황사, 또는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비의 색깔이 가물거리거나 노란색으로 물들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의 경우 비는 투명한 색상을 띠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비는 완전한 투명색이 아닙니다. 비는 지구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수증기와 함께 이물질들이 포함됩니다. 이물질에는 황사, 미세먼지, 먼지, 연기 등이 포함됩니다. 이물질들은 비의 색깔을 흐리게 만들고, 때로는 비가 노란색, 갈색, 검은색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의 색깔은 우리가 사용하는 물의 색과 거의 동일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물은 대부분 수돗물로, 수돗물은 정수 과정을 거쳐 이물질이 제거됩니다. 따라서 수돗물은 투명한 색을 띠게 됩니다. 반면, 비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하지 않습니다.

    비의 색깔은 비가 내리는 지역의 대기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기 중의 이물질이 많을수록 비의 색깔은 더 짙어집니다. 예를 들어, 황사가 심한 날에는 비가 노란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는 완전한 투명색이 아닙니다. 비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만들어지는데, 이때 공기 중의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이 함께 응결됩니다. 이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이 빗물에 색을 띠게 하는 것입니다.비의 색깔은 우리가 사용하는 물의 색과 거의 동일합니다. 하지만, 비가 내리는 지역의 대기 환경에 따라 비의 색깔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기가 매우 오염된 지역에서는 비가 더 진한 색을 띠게 됩니다.또한, 비가 내리는 속도도 비의 색깔에 영향을 미칩니다. 비가 매우 빨리 내릴 때는 공기 중의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이 잘 응결되지 못하여 비의 색깔이 더 밝게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씻어내리기때문에 완전 투명한색은 아니죠.

    미세먼지가 심할땐 누렇게도 되더라구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 하신것과 같이 하늘에 있는 미세먼지 및 기타 이물질에 따라 빗방울의 색상이 달라지며, 빗방울의 크기 두께에 따라서도 색상이 달라 보입니다. 두께가 클 수록 진하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