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0.31

행성 중에 가장 밝은 행성은 무엇인가요?

그 끝을 알 수 없는 넓고 넓은 우주에는 지구를 제외하고 수많은 행성들이 있잖아요. 그 수많은 행성들 중 가장 밝은 행성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는 태양이 가장 밝은 행성입니다. 태양 외 행성이라면 금성으로 금성의 태양 빛 반사 비율이 약 75% 정도 됨에 따라 밝기가 가장 밝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 달 다음으로 가장 밝은 행성은 금성이라고 합니다. 지구와의 거리도 가장 가까워서 밝게 보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을 밝기는 지구에서 보는 밝기를 상대적으로 나타내게 됩니다

    지구에서 보이는 별 중에서 가장 밝은 별은 시리우스 별이 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동안 금성이 가장 밝은 행성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 더 밝은 행성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금성의 반사율은 75%였는데 이 LTT9779 b는 반사율이 80%에 육박합니다. 이를 발견한 과학자들은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거울’이라고 칭하고 있죠.

    출처:천체이야기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는 끝없이 넓기때문에 어떤 행성이 있는지도 파악하기 힘들지만 우리 눈에 보이는 행성으로 한정하자면 태양, 달 다음으로는 금성(Venus)입니다.


    금성은 태양계에서 지구에 가장 가까운 행성 중 하나이며, 그 밝은 모습으로 인해 "이슬보다 밝은 저녁 별"이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금성은 아침 또는 저녁에만 볼 수 있으며, 밤하늘에는 보이지 않는 행성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거울 행성이라 불리는 행성이 있습니다.

    특이한 특성을 가진 행성으로 반사율이 80%이상이라고 합니다.

    빛 반사율이 높아 매우 밝은 행성이며

    이름은 LTT9779 b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밝은 행성은 천문학적으로 '밝기'를 나타내는 지표인 '평균적인 겉보기 등급'으로 결정됩니다. 이 등급은 관측자가 관측한 행성의 밝기를 표현하는 천문학적인 체계입니다.

    현재로서는 밝은 행성은 금성입니다. 금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이너 행성으로, 지구와 비슷한 크기와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에 가까워 태양광을 강하게 반사하여 밝게 보입니다. 그래서 이른 아침이나 이른 저녁에도 밝게 떠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천구상의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별. 즉 별자리를 이루며 다량의 에너지를 방출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별들을 말하며 태양도 그 하나다. 이에 비해 행성은 위치 변화가 크고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며 태양빛을 반사한다.


    항성들의 밝기는 기원전에 히파르코스가 정의하였고 프톨레마이오스가 개량한 등급 단위를 사용한다. 이 단위계는 천구에 있는 항성 중 가장 어두운 것을 6등성이라 하고, 가장 밝은 것들을 1등성으로 하여 밝은 항성일수록 작은 값을 갖는다. 1등성의 밝기가 6등성 밝기의 100배와 같다.


    항성은 탄생기에 있는 원시별(原始星), 청·장년기의 주계열성(主系列星)이나 왜성(矮星), 노년기의 거성(巨星)·초거성(超巨星), 소멸해가는 초신성(超新星), 죽은 별의 잔해인 백색왜성·중성자별(中性子星) 또는 블랙홀 등으로 분류된다.


    천문학에서는 실시등급이 1.m5보다 밝고 0.m5보다 어두운 별을 가리키는데, 일반용어로는 1.m5보다 밝은 21개의 항성을 일컫는다. 밝은 순으로는 시리우스, 카노푸스, 센타우루스자리 α, 아르크투루스, 베가, 카펠라, 리겔, 프로시온, 아케르나르, 센타우루스자리 β, 알타이르, 베텔게우스, 알데바란, 남십자자리 α, 스피카, 안타레스, 폴룩스, 포말하우트, 데네브, 남십자자리 β, 레굴루스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을 도는 행성중에서 가장 밝은 것은 금성입니다.

    금성의 공전 주기는 224일이며 자전 주기는 243일 입니다.

    금성은 지구와 많이 닯은 형태의 행성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에 속하는 행성중에서는 금성이 가장 밝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두껍게 쌓인 대기층이 태양 광선을 반사하여 가장 밝게 보이는거죠. 그래서 우리가 흔히 샛별이라고도 부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태양계 안에서는 태양빛의 반사율이 가장높은 금성이 가장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금성은 다른 행성들보다 대기가 두꺼워 태양빛이 더 잘 반사되는 특징을 가지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밝은 행성이 바로 금성입니다.

    다른 말로 샛별이라고 하며 초저녁 서쪽 하늘이나 새벽녘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기 때문에 지구에서 보이는 것은 태양빛에 반사되어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