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시크한닭140
시크한닭14021.04.15

치과 치료 잇몸치료일까요 발치일까요?

잇몸이 주저안고 치아사이에 음식물이 많이 끼어서 불편해요 어떤곳은 발치를하라하고 어떤곳은 잇몸치료를 해주는데 음식물이 끼어서 너무불편해요 어떻게해야하나요 너무 불편해요ㅜㅜ도와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잇몸이 내려가게 되면 치아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음식물이 잘 낄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끼는것으로 인해 통증이 생기지 않은다면 치간 공극에 맞는 치간칫솔로 관리를 해주시는 것이 좋아요.

    잇몸이 내려갔다고 해도 기능을하는데 문제가 없고 염증이 없다면 발치하지 않고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잇몸 치료 이후에도 나아지지 않는다면 발치를 해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주치의 선생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잇몸 치료 이후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결국 환자만 불편감이 커질 수 있다고 판단되면 바로 발치할 것을 권할 수 있고 조금 불편하더라도 자연치를 살리는 쪽으로 치료를 하는 선생님이라면 일단 잇몸 치료를 권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치료라도 특별히 잘못된 것은 아니며 만약 잇몸 치료가 실패한다면 발치를 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잇몸이 많이 안좋아서 치아가 흔들리거나 염증이 있다면 발치를 할 수 있거나 잇몸치료를 해서 살려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잇몸염증이 심하다면 치료를 해도 결국 또 안좋아져서 오래사용을 못할 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너무 많이 끼고 잇몸이 너무안좋다면 발치 후 임플란트를 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잇몸염증의 확률이 있어보이십니다.


    일단 잇몸은 평소 치아 관리가 중요합니다.

    양치후 치실사용 등을 하셔서 치태가 완전히 제거해주는 습관을 기르셔야합니다.

    또한 몸의 컨디션조절도 중요합니다.

    피곤하거나 잠이 부족하거나 하면 염증반응이 더 촉진 되기 때문에 잇몸병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활습관으로도 잇몸이 계속 불편하시면

    치과에 내원하셔야합니다.

    내원하시면 보통 스케일링을 하고 지켜보게 되는데

    심한 경우에는 마취를 하고 치아 뿌리쪽의 염증을 긁어내는 술식 (큐렛술식)을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의 정확한 구강상태를 보지 않고 설명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점 말씀드립니다.

    잇몸이 붓고 피가 나는 경우 잇몸 염증을 의심할 수 있으며, 재발과 치유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면서 점차 치아 주변의 뼈(치조골)의 흡수까지 일어나는 치주염으로 진행되게 되며 이로 인해 잇몸이 내려가는 잇몸퇴축이 일어나게 됩니다.

    치주염이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되게 되면 치아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잇몸 염증정도라면 주기적인 스케일링만으로 증상이 개선되며,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잇몸치료가 동반됩니다. 잇몸치료라고 해서 내려간 잇몸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은 아니며, 치주염이 더 악화되어 더욱 심한 치조골의 흡수를 예방하고 치주염이 진행되는 속도를 늦추는 데 치료의 목적이 있습니다.

    치주염이 심하게 진행되어 뼈의 큰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발치를 고려하게 됩니다.

    철저한 구강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스케일링, 건강한 식습관 등으로 치주염의 진행 속도를 어느정도 늦출 수 있습니다.

    잇몸이 내려간 경우 치아 사이의 공간이 뜨게 되고, 치아의 동요가 생기면서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잘 끼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이렇게 음식물이 끼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잇몸퇴축이 일어나지 않도록 평소에 구강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지만, 이미 발생한 경우에는 그 해결이 어렵습니다.

    간혹 크라운 치료 등으로 해당 공간을 조금 좁임으로써 어느정도의 증상 완화정도는 가능할 수 있으나, 치주염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라면 더욱 잇몸이 내려가면서 다시 음식이 많이 끼게 됩니다.

    더욱 잇몸이 내려가 더 많은 음식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구강위생의 철저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잇몸이 안좋으면, 치아가 벌어지고 잇몸이 내려가 틈이 생기기 때문에 음식물이 많이 낄 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끼는 상태에서 방치되면, 잇몸질환이 더 악화됩니다.

    현재 잇몸치료를 하여 살릴 수 있는 상황이라면, 살려서 더 쓰시되, 음식물이 끼는것은 치간칫솔이나 치실을 사용하여 바로바로 빼주는것이 좋습니다.

    만약 잇몸치료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빨리 발치하는것이 좋습니다.

    정확한것은 사진을 찍어봐야 알 수 있기때문에, 치과에서 검진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