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8

원산 노동자 총파업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과거에 있었던 '원산 노동자 총파업'은 무슨 사건인가요?


원산 노동자 총파업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9년 1월부터 4월 6일까지 4개월간에 걸쳐 원산의 전노동자가 파업을 단행한 사건. 20년대 노동운동사상 최대규모의 조직적 투쟁이었다. 원산에서는 일찍부터 노동운동이 발달, 25년 11월 원산노동연합회가 결성되어 가맹단체 54개, 조합원 총수 2천 명에 달했다. 파업은 28년 9월, 영국인이 경영하는 문평 라이징선(Rising Sun) 제유회사에서 일본인 감독이 조선인 노동자를 멸시·구타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에 노동자들은 폭행에 대한 항의와 함께 생활조건 개선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 20여 일 만인 9월 28일 회사 측이 노동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임으로써 파업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3개월이 지나도록 회사 측은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뿐더러, 이를 촉구하는 노조와 원산노동연합회 등 일체의 노동 단체를 인정치 않고 단체교섭권마저 부인했다. 이에 격분한 3백여 명의 노동자들은 29년 1월 14일 최저임금제 확립·8시간 노동제 실시·감독파면·대우개선·단체계약권 확립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단행했다. 일본인 자본가들의 집단인 원산상업회의소가 이 기회에 원산노동연합회를 파괴하고자 획책하차 원산노동연합회는 이에 맞서 1월 22일 총파업을 선언하고, 산하 24개 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갔다. <외국자본의 착취를 몰아내자> <단결은 우리의 무기다> 등의 슬로건 아래 원산지역의 모든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가했다. 일제는 원산상업회의소와 손잡고 파업 지도자를 체포하는 한편, 함남노동회라는 어용노동단체를 만들어 노동자들을 분열시키고자 했다.

    파업이 장기화되고 노동자들의 생계가 어려워지자 각계각층에서는 성금·식량을 보내 파업을 지원했다. 그러나 지도부가 대부분 검거된 상황에서 더 이상 파업을 지속할 수 없게 된 원산노동연합회는 4월 6일, 무조건 자유취업을 지시했고, 이로써 총파업은 4개월 만에 끝났다. 요구조건 중 특히 단체교섭권을 확립하지 못하고 실패하긴 했으나, 원산 총파업은 조선 노동자들의 의식을 크게 각성시켰으며, 식민통치자들에게 조선 노동계급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게 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민족해방운동을 이끌고 나갈 만한 통일된 지도세력이 없었기 때문에 원산 총파업은 민족해방운동으로 승화되지 못하고 실패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원산 총파업 [元山總罷業] (한국근현대사사전, 2005. 9. 10., 한국사사전편찬회)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2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8년 9월 8일 함경남도 덕원군 문평리에 있던 라이징 선 석유회사의 일본인 감독이 한국인 유조공을 구타하자 노동자 120명이 감독 파면과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파업한 것에서 시작됩니다.

    하부조직인 문평노조를 대변한 원산노동연합회가 개입하고 문평노동자가 장기파업에 들어가려하자 회사 측은 노동자의 요구를 수학하는 협정을 체결해 파업은 9월28일 끝나는데, 회사측은 약속한 3개월을 넘기고도 협정을 지키지 않았고 더 가혹한 최저임금 내규를 만들었습니다. 1929년 1월 13일 원산노동연합회는 8시간 노동제 실시와 취업규칙 개정, 노조 승인을 요구하는 동맹파업을 결의, 14일 파업에 들어갑니다.

    원산부두노동조합과 국제통운, 국제운수에서도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1월초부터 파업했으므로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전 원산부두노동자에게 라이징 선 회사의 화물을 일체 취급하지 말도록 했고 원산노동연합회 산하 전 조합원은 파업이 해결될때까지 파업기금을 모으기 위해 일체 술을 마시지 말고 매일 5전씩 저축하기로 하자 일본인 자본가들이 모인 원산상공회의소는 1월 21일 원산노동연합회 소속 노동자를 고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웁니다.

    상공회의소 결정에 대항해 원산노동연합회는 1월 22일 총파업을 단행, 이날 원산두량도종조합, 해륙노동조합이 , 23일 결복노동조합과 운반노동조합이 , 24일 원산 중사조합과 제면노동조합이 각각 파업에 들어갔고 27일 양복직 노조가, 28일 우차부조합과 인쇄직공조합이, 2월 1일 양화직공조합이 파업에 가담해 원산노동연합회 산하 노동자 2200명이 총파업에 참가, 문평노조에서 시작된 파업은 원산 일본인 자본가와 한국인 노동자의 싸움으로 번지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래 일반적인 명칭이 원산 총파업인데요

    이걸 노동자들이 파업을 한거니까 원산 노동자 총파업이라고 하는거고

    근데 사실 파업을 노동자들이 하는건 당연한 거 아닙니까?

    저 파업 이유가 더 중요한데 이유를 보면 "부당노동행위" 때문에 파업을 한 것입니다.

    그래서 "노동"이라는 점이 중요한거라서 원산 노동 총파업도 맞을 수 있다 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산총파업은 1929년 1월 13일부터 4월 6일까지 원산노동연합회 산하 노동조합원 2,200여 명이 참여한 한국노동운동사상 최대 규모의 파업이다. 영국인이 경영하던 문평제유공장의 일본인 간부들의 민족 멸시·차별에 항의한 파업이 발단이 되었다. 경찰의 비호 속에 회사의 탄압이 거세지자 원산노동연합회가 전면에 나서면서 총파업으로 이어졌다. 원산상업회의소는 어용단체 함남노동회를 만들어 원산노동연합회 말살을 시도했고 경찰은 주요간부 검속으로 이를 도왔다. 전국 각지의 후원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3개월 동안 강인하게 투쟁했으나 노동자측의 패배로 종결되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