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약 먹으면 아기 갖기 힘든가요?
친구가 갑상선 때문에 약을 먹고 있습니다. 결혼을 해서 아이를 갖고 싶어하는데 아기가 부부에게 오지 않네요. 사정이 있어 신랑쪽 누나딸을 친자식처럼 키우고 있고 조카도 부부에게 엄마.아빠라 부르고 있어요. 친구에게얼핏 갑상선 약을 먹으면 아이 갖는건 힘들다고 들었던거 같은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갑상선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임신 계획이 있을 때가 궁금하시군요.
결론은 약은 크게 문제 되지 않으며 오히려 갑상선약을 복용하면서 수치를 잘 조절한 상태에서 임신을 하는게 옳습니다.
갑성신 질환에는 크게 기능 항진증과 저하증이 있습니다.
우선 임신 중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잘 조절하지 않으면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적절히 치료해야 합니다.
임신도 중요하지만 갑상선 기능 수치가 안정을 찾고 임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하지 않은 산모의 경우 유산, 임신 유발성 고혈압, 조산, 울혈성 심부전, 갑상선 중독발증, 태반조기 박리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태아에게는 저체중, 발육지연, 갑상선 종,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항진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신 중에도 태아에게 비교적 안전한 항갑상선제(Methimazole -> PTU)로 치료하며 가능하면 적은 양의 약을 복용하여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정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상위 1/3에 해당하는 수치(정상수치 범위 중 가장 높은 수치보다 낮은 정도)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임신하게 되면 갑상선 항진증의 수치가 좋아져 약 용량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임신 중에 방사선 요오드 치료는 금기입니다.정기적으로 진찰하고 갑상선 수치를 검사하여 항갑상선제 용량을 조절하면서 치료하면 별다른 이상 없이 분만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경우에는 임신시 약물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할 수 있으며 모체의 갑상선 호르몬이 태아의 두뇌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정신발육지연과 신경학적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조산, 임신 유발 고혈압, 빈혈, 태반 조기박리, 출혈 등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며, 태아기 및 출생 후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갑상선 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갑상선에는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있는데 보통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사용되는 호르몬제제는 태아 발달에도 영향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용량을 늘려 복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갑상선 기능항진증 약이나 일부 다른 약에서는 태아 발달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약 복용에 신중해야 합니다. 하지만 임신하는 과정에서 갑상선 약과는 큰 연관관계는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