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외로운침팬지184
외로운침팬지18423.12.12

평소에 궁금한사항인데 질량과 무게는어떤차이인가요?

평소에 궁금한사항인데 질량과 무게는 어떤차이가 나는지가 궁금합니다. 혹시나 아시는 전문가님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과 무게는 일상적으로 서로 바꿔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물리학적으로는 매우 구별되는 개념입니다.

    1. 질량: 질량은 물체가 가진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속성으로, 중력과 관계없이 일정합니다. 질량은 일반적으로 킬로그램(kg)으로 측정되며, 어떤 행성이나 천체에 있든지 간에 물체의 질량은 변하지 않습니다. 질량은 물체의 관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물체가 속도를 변경하기 위해 필요한 힘의 양과 관련이 있습니다.

    2. 무게: 반면에 무게는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힘입니다. 따라서 무게는 질량과 그 물체가 위치한 곳의 중력 가속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무게는 보통 뉴턴(N)으로 측정되며, 지구의 중력 필드에 따라 다른 위치에서는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달에서의 무게는 지구에서보다 훨씬 적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질량은 물체의 기본적인 물리적 속성이며, 어디에 있든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무게는 물체가 위치한 곳의 중력에 의해 결정되므로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과학적 실험과 계산에서는 두 용어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3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과 무게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개념입니다. 질량은 물체가 가지고 있는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고 무게는 그 물체가 지구의 중력에 의해 받는 힘을 나타냅니다. 즉 질량은 물체 자체의 성질이고 무게는 그 물체가 어떤 환경에서 놓여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구에서 사람의 질량은 달에서 사람의 질량보다 더 큽니다. 하지만 무게는 지구에서도 달에서도 변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지구와 달의 중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질량과 무게는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일반적으로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무게도 더 커집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과 무게는 서로 다른 물리량입니다.

    질량은 물체가 가지는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물체 내부의 입자들의 질량의 총합이 됩니다. 질량은 크기와 방향이 없으며, 물체가 가진 관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질량은 kg, g, mg 등의 단위로 표시됩니다.

    반면에, 무게는 물체가 지구나 다른 천체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받는 힘을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무게는 질량과 다르게 크기와 방향이 있으며, 물체가 놓인 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 즉, 무게는 질량과 중력의 크기와 방향에 종속적입니다. 무게는 뉴턴 또는 파운드등의 단위로 표시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무게는 중력가속도와 질량과의 곱셈입니다 . 따라서 장소에 따라 그 크기가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질량은 고유의 특성으로 장소에 따라 변화가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은 물질이 가지고있는 고유의 물질의 양 자체를 의미하고, 무게는 이 질량을가진 물체와 물체간에 작용하는 중력이라는 힘의 크기를 말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의 질량은 그 물체 안에 포함된 물질의 양으로, 그 물체 자체의 특성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물체의 질량이 5킬로그램이라면, 그 물체 안에는 5킬로그램의 물질이 들어있다는 의미입니다.


    한편, 무게는 물체가 중력에 의해 끌려가는 힘을 나타냅니다. 물체의 무게는 그 물체의 질량과 지구 상에서의 중력 가속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공식적으로는 무게(W) = 질량(m) × 중력 가속도(g)로 표현됩니다.


    지구 표면에서의 중력 가속도는 대략 9.8 미터/초²입니다. 따라서 질량이 5킬로그램인 물체의 무게는 약 49 뉴턴(5 kg × 9.8 m/s²)가 됩니다.


    요약하면, 질량은 물체에 내재된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고, 무게는 중력에 의해 물체가 끌려가는 힘을 나타냅니다. 질량은 어떤 위치에서든지 일정한 값이고 무게는 중력에의해 달라지는 값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과 무게는 종종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질량은 물체가 가지고 있는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질량은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절대적인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게는 물체가 받는 중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무게는 중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중력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몸무게가 60킬로그램이라면 정확하게 60㎏중이라고 해야 한다. 질량 60㎏을 지구가 당기는 힘을 60㎏중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은 질량의 단위이고, ㎏중은 무게의 단위이다. 질량은 물질 고유의 변하지 않는 양이고 무게는 지구가 당기는 힘이기 때문에 변할 수 있는 양이다.


    즉 60㎏중은 약 588뉴턴1)에 해당되며, 무게가 60㎏중인 사람이 달에 가면 달에서는 만유인력이 지구의 1/6밖에 안 되기 때문에 무게는 1/6로 줄어 98뉴턴이 된다. 물론 목성에 가면 훨씬 더 무거워진다. 심지어 지구 위에서도 장소에 따라 무게가 달라진다. 즉 극지방에 있는 사람이 적도지방에 있는 사람보다 더 무거운데, 첫 번째 이유는 극 방향으로의 지구 반경이 적도 방향으로의 지구 반경보다 더 짧기 때문이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거리가 짧을수록 당기는 힘이 더 세다.


    용수철 저울은 무게를 재는 저울로서, 용수철은 세게 당길수록 많이 늘어난다는 후크의 법칙2)을 이용한 것이다. 용수철에 물체를 달았을 때 지구가 당기는 힘이 크면 많이 늘어날 것이고, 당기는 힘이 적으면 적게 늘어날 것이므로 용수철이 늘어난 길이로 무게를 알 수 있다. 적도에서보다 극지방에서 당기는 힘이 크기 때문에 용수철이 많이 늘어나고, 달에서는 지구에서 늘어나는 길이의 6분의 1로 줄어든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은 중력에 관계 없이 어느 곳에서나 동일하게 측정이 됩니다. 이유는 비교가 되는 표준 추를 이용하여 측정히기 때문입니다.

    무게는 표준 추가 없이 측정하는 것으로 중력이 높은 곳에서는 무겁게 나타납니다.

    지구의 지역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