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MRI촬염중 금속에 빨려들어가 사망했다고 합니다.
MRI장비는 우리가 뇌 등 아픈부위를 촬영하는 기계입니다. 이기계의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환자가 금속을 착용했다가 빨려들어가 사망했다고 해서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MRI 장비는 매우 강한 자기장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금속은 강하게 장비 안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어 큰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 금속 산소통이나 휠체어 및 장신구 등으로 큰 부상을 주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검사전 금속 물질은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MRI 는 강력한 자기장을 내게 됩니다. 즉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 되는데요. 이 때문에 금속 등을 착용할 경우 빨려들어가면서 사고가 발생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MRI 장비는 강한 자기장과 라디오파를 이용해 인체 내부의 수소 원자 신호를 촬영합니다. 자기장이 수소 원자의 자성을
정렬시키고 라디오파가 이를 자극하면 신호가 발생합니다. 이 신호를 컴퓨터가 영상으로 변환해 병변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강한 자기장 때문에 금속 물체가 기계 쪽으로 빨려 들어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환자는 금속 착용을 반드시
제거해야 합니다.
MRI(자기공명영상)는 강력한 자기장과 고주파를 이요하여 인체 내부의 물분자에 있는 수소 원자핵 신호를 영상으로 만드는 장비입니다.
이때 장비가 생성하는 초강력 자기장은 검사 내내 유지되며, 철과 같은 자성을 띠는 금속 물질을 매우 강하게 끌어당기는 특성이있습니다. 심지어 휠체어나 산소통도 장비안으로 빨려들어갈 정도의 자력을 발생시킵니다.
금속 목걸이 등을 착용한 채 MRI검사실에 들어가면 이 강력한 자기장에 의해 금속 물체가 장비로 맹렬히 빨려 들어가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 사고로 이어질수있습니다. 그래서 MRI 검사시에는 모든 금속류를 반드시 제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