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인즈와 이자율 자본유출에 대해 궁금한 점 있어요

변동환율제도에서 물가가 하락하면 실질화폐공급량이 증가해서 이자율이 하락한다는데 왜 실질화폐공급량이 증가하는 건가요? 그리고 이자율이 하락해 자본유출이 일어나면 환율이 상승한다는 부분에서, 자본유출이 일어남은 해외 이자율이 더 높아서 해외에 투자? 저축? 채권구입? 무엇을 하기 위함인가요?? 케인즈 말에 따르면 이자율이 낮을 때 투자가 늘어난다고 했는데 왜 자본유출이 일어나 해외로 눈을 돌리는 건지 이해가 어렵습니다 도와주세요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변동환율제도에는 자유변동환율제도와 관리변동환율제도가 있습니다.전자는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공급에 의해서 환율이 자유롭게

    결정되도록 하는것이고 후자는 자율적으로 결정하되 변동이 클때 개입을 하는것입니다. 화폐공급량이 증가하면 화폐가치 하락으로 이어지며 이는 이자율하락이어져 해외자본 유입 및 국내자본 해외투자증가로 환율이 상승하게되는 통화금융정책을 실시합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부 자금은 상대적으로 이자가 높은 신흥국으로 나가게되고 일부는 낮아진 투자비용으로 인해 투자를 늘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