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가 1.3% 상승했다는데 추후 디플레이션 가능성도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3% 상승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전월대비로는 0% 상승이었는데 그렇다면 추후 디플레이션 가능성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1.3%로 나타났지만, 전월 대비 0% 상승은 물가 상승 압력이 약해진 상태를 시사합니다.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적으로 낮거나 마이너스를 기록할 경우 더욱 커지지만, 현재로서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사이의 균형 상태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물가상승 추이가
1%대를 보였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점에서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적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0월 소비자 물가 1.3퍼센트 상승에 대한 내용입니다.
추후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정확히는 전월대비로는 0퍼센트이겠지만 여전히 1.3퍼센트가 오르고 있기에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물가 예측 부분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함부로 말할 수는 없지만 디플레이션까지 오지는 아닐 것 같습니다. 경기가 약간 침체하는 분위기가 있지만 그래도 물가는 꽤나 오르는 게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 디플레이션을 논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보입니다
그 이유는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오히려 역행을 해야 하는데 이정도 수준이면 경제위기 상태로봅니다
따라서 디플레이션이 오기에는 아직은 물가상승율에 여유가 있는 편입니다
다만 내수의 신경을 꺼버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기민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가 2개월 연속 상승했다고 해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정도는 아닙니다.
만약 장기적으로 물가는 상승하고 경기 침체가 지속된다면 디플레이션을 준비해야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