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12.12

약들은 왜 맛에 쓴 건지 궁금합니다.

최근 감기로 인해 계속 감기약을 복용했는데 문득 왜 약들은 쓸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옛속담에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다' 라는 표현이 있는데 정말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기만 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굳센비쿠냐154입니다.대부분 약물의 경우 식물에서 가져 온 성분이라

    침에 녹으면 쓴 맛이 나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식물 특정 부분이 원래 써서 날 수 있지만

    우리가 이 맛에 익숙하지 않아서 쓴 맛을

    느끼게 된다고 말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말은 즉 우리의 미각은 적응을 통해서 이뤄지는데

    약의 경우 적응을 잘 하지 못한다고 말씀을 드릴 수 있어요.

    뭐 한 가지 쉬운 예시를 들자면 아메리카노와 같은

    커피도 처음에 먹으면 쓴 맛이 난다고 생각이 들지만

    자주자주 마시면 쓴 맛이 아니라 그냥 맛있다고 생각해서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마시게 되는 것 과 같은겁니다.

    이처럼 쓴 약을 자주 먹으면 먹을수록 맛이 좋아질 수 있는데

    심리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실제로 적응이 된다고해요.

    그리고 우리의 혀는 쓴 맛에 대한 수용체가

    단 맛보다 훨씬 많은데 단맛에 대한 수용체는 3개인데

    쓴 맛에 대한 수용체는 43개라서 쓴 맛의 약을 먹을

    경우 쓴 맛이 입안에서 훨씬 더 오래 남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봄여름가을겨울 동화속 은빛파도입니다.

    움직일 수 없는 식물들은 자신을 보호하는 특별한 물질을 만드는데 이것은 쓴맛이나 떫은맛, 아린 맛이 납니다.

    ​식물이 만드는 물질들로 토대로 약물을 개발했기에 쓴맛이 납니다.


  • 안녕하세요. 만리경입니다. 약이 쓴 이유는 대부분의 약이 식물이 만드는 물질을 바탕으로 약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식물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물질을 분비하는데 그것이 쓴맛 떫은 맛 아린 맛 이 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약이 쓰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