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5.16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어떻게 발명 되었나요?

우리의 생활에서 필수로 전기는 필요한데 최초의 전기는 어떻게 발견이 되고

발전해서 지금의 우리가 쓰는 전기가 생산 되는지 궁굼 합니다.

도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의 발명은 여러 사람들의 연구와 발견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전기의 발명과 발전의 시작은 벤자민 프랭클린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프랭클린은 1752년 비행기와 유사한 모양의 연장선에 키와 비틀을 달고 번개가 치는 날에 연장선을 띄워보았습니다. 그 결과, 전기가 연장선을 통해 전달된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전기를 연구하였습니다.

    프랭클린 이후에도 전기에 대한 연구가 이어졌고, 마이클 파라데이는 전기와 자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자기학을 발전시켰습니다. 이후에는 전력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발전기 기술이 개발되어 전기가 우리 생활에 필수적인 에너지로 자리 잡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발명이 겹쳐져서 발전해왔습니다. 전기 발전의 역사는 오래되어, 전기의 기초적인 원리를 발견한 과학자들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벤자민 프랭클린은 1752년 천둥번개의 전기를 실험으로 확인하였으며, 1800년대에는 볼타 전지, 모스전 신호기, 전기 모터 등의 발명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19세기 후반에는 전력 생산과 분배 기술이 발전하여, 전력 회사들이 창설되어 전기를 대중에게 공급하게 되었습니다. 20세기 이후에는 원자력 발전소, 태양광 발전소 등 다양한 발전 방식이 연구되어 전기 생산 기술이 발전해왔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6

    안녕하세요.

    최초의 전기 발견은 아마도 화석인간들이 돌을 부딪쳐서 생기는 정전기를 느낀 것에서 시작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전기를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적 발전은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745년, 벤자민 프랭클린은 낙뢰와 관련된 연구에서 전기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19세기에는 전자기학의 기초가 다지어졌으며, 다양한 전기 기술이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19세기 후반부터는 동력 발전을 위한 발전기가 개발되었고, 20세기에는 전기의 산업적 생산과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했습니다.

    지금의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일반적으로 전력 발전소에서 생산됩니다. 전력 발전소는 화석 연료, 원자력, 재생 에너지 등 다양한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합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수력 발전,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연료를 이용한 발전, 원자력 발전소 등이 있습니다.

    전기 생산 후에는 송전망을 통해 전기가 사용자에게 공급됩니다. 송전망은 대규모의 전력을 장거리로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고압 전선망과 변압기, 전력 획득 시설, 통제 시스템 등으로 구성됩니다.


  • 전기를 제어하고 사용하는 방법은 17세기에 발견되었습니다. 18세기에는 벤자민 프랭클린이 전기를 탐구하며 번개의 원리를 밝혀낸 것이 유명합니다.

    19세기 초반에는 전기 발전이 시작되었습니다. 마이클 파라데이와 안드레 마리 앙투안 앙페르가 전기와 자기의 관계를 밝혀내면서 전기 발전의 핵심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토마스 에디슨은 1879년 전구를 발명하여 전기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게끔 만들었습니다. 이후 전기 발전은 빠르게 진행되어 전력을 생산하고 전력망을 구축하는 기술 발전이 이뤄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으로 쓰기 시작한 때는 고대 그리스라네요 ^^


    전기(電氣)가 인간에 의해 처음으로 인식된 것은 고대 그리스 시대의 일이다.

    그것은 장식픔으로 쓰이고 있던 호박(琥珀)이 작은 물체를 끌어당기는 현상을 발견 하였을때이다. 원래 호박은 황금색을 띤 전기를 통하지 않는 물질이며, 그 색채의 아름다움으로 그 당시 귀인들이 장신구로서 이용했던 것이다. 호박의 원석을 구슬같이 구형이나 곡옥(曲玉) 모양의 장식품을 만들려고 가공하거나 갈고 있을 때, 우연하게도 호박이 전기를 띤 작은 물질을 끌어당기는 현상을 발견했을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전기를 띤 호박은 작은 물질이면 무엇이든지 다 끌어당겼을 리는 없다. 종이나 털과 같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작은 절연물에 한했다. 호박과 종이 혹은 유리와 털과 같은 다른 두 종류의 절연물을 서로 마찰 시키면, 양자간에는 전하의 이동이 생겨 서로 다른 전기를 띠게 된다.

    이런 종류의 전기는 물질을 마찰해서 생기므로 마찰 전기라고 부르게 되었다. 호박에 마찰 전기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던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호박 속에 신(神)이 머물러 있다고 믿으며 이해하려 했다. 그리고 그 호박을 호신을 위한 부적으로 몸에 달고 다녔다고도 전해지고 있다. 또, 철학자들 사이에서는 마법의 돌로서 주목받았다.

    기원전4세기경, 철학자 탈레스(Thales)는 이 흡인력을 그때까지 우주를 지배하고 있는 요소로 믿고 있었던 '천지화수(天地火水)'와다른 새로운 요소로 생각 하였다. 그리고 마력을 갖고 있는 호박을 전자(electron)라고 이름 붙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물론 탈레스가 호박을 전자라고 이름 붙인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물질을 흡인하는 힘을 그 당시 인간의 상상을 초월한 어떤 것이었다고 생각하였을 것은 틀림없다.

    16세기 말에 영국의 의학자 길버트(William Gilbert 1540-1603)는 양의 전기와 음의 전기가 끌어당기는 마찰전기를 실험적으로 증명, 이 현상에 관해 자신이 주장한 가설이 정확하였다는 것을 보여 이 현상을 학문적으로 통일하였다.

    그리고 1600년에 이 마찰전기를 저서 9전자기론)에서 'Electrica'로 이름지었다. 그 후 46년이 경과한 1646년에 영국의 브라운은 저서 (유행하는 외견상의 도수관)에서 전기(Electricity)라는 말을 쓰고 있다. 이 말이 서서히 사람들 사이에 전달 되어,현재 쓰이고 있는 전기라는 용어로서 남게 된 것이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의 발견은 고대 그리스에서 이뤄졌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인 탈레스는 BC 600년경 호박이라는 보석을 통해 전기를 발견했습니다. 당시 탈레스는 우연히 호박을 모피에 문질렀는데요. 이때 전하가 발생하며 물체를 끌어당기는 것을 보고 전기를 발견했다고 합니다. 전기의 영문표기인 ‘electricity' 역시 호박의 그리스어 ‘electron'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후 16세기, 영국의 윌리엄 길버트는 호박이 지니는 전기와 자석이 지니는 전기를 명확히 구분했습니다. 길버트는 지구가 하나의 커다란 자석임을 제시하며, 자석의 원인은 호박의 전기와 다르다는 주장을 펼쳤고, 이로 인해 ‘전기’와 ‘자기’의 구별이 시작된 것입니다.

    1752년에는 미국의 벤저민 프랭클린이 연을 이용해 번개의 전기적 성향을 증명하기도 했으며, 프랑스의 물리학자 뒤페는 전하의 음과 양을 구별하는 발견을 이루기도 했습니다. 이 외에도 인류의 역사 속에서 전기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연구됐으며, 마침내 1879년, 토머스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하며 전기 시대의 서막을 올렸습니다. 이후 전기는 각국에 보급되어 일상생활 속에 널리 쓰이게 되었고, 오늘날까지 전기는 우리 생활에 필수적인 에너지로 자리 잡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는 과거 고대 그리스 시대에 탈레스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전기 현상을 연구하면서 최초로 발견되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 사용하는 전기의 개념이 된 것은 19세기 초 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