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2.11.23

언제쯤 국민이 경기가 좋아졌다고 느낄까요?

고물가에 대출이자 지속 상승 현쟈 국민들이 버티기가 너무나 힘든 상황입니다 또한 고유가시대에 국민부담이 가중되는 현 경제 상황이 언제쯤 좋아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들이 체감할 정도로 경기가 좋아졌다고 느끼려면 아무래도 물가가 안정과 금리안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미국보다는 천천히 인상되지만 조금 더 길게 되어 내년 중반까지 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우리나라를 기준으로만 말씀드리게 되면 내년 상반기에는 올해 7월부터 시작된 환율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과 고금리로 인한 이자비용 부담이 함께 가중되어 스태그플레이션의 상황에 있을 가능성이 높아 가장 힘든 시기라고 느껴질 것 같습니다. 이후 내년 중반부터는 환율의 안정과 함께 인플레이션은 하락하게 되고 고금리로 인한 이자비용 부담 증가가 국민들에게 가중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2023년도 연말부터 금리인하가 검토 될것으로 보이는데, 실물경기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국민들이 괜찮다고 느낄 정도가 되려면 2024년도 중반쯤이 되어야지 안적적인 체감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가 좋다'는 말은 생산과 소비의 활동 수준이 크다는 뜻입니다. 즉 생산도 많이 하고 소비도 많이 하고 자연스럽게 돈의 움직임도 활발해지는 시기인데 내년에 금리인상이 절정에 달한후에 경기침체가 예상되므로 최소 2024년 상반기는 되야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만

    당분간은 물가 등으로 인하여 계속 금리가 오를 것으로 보이며

    원자재 공급망 문제에 있어서 세게정세가 회복되지 않은 등

    이에 따라서 당분간은 경기가 반등을 보이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