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망그러진고옴23
망그러진고옴23

고주파 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스킨 효과는 어떻게 전송 효율에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스킨효과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이 고주파 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스킨효과는 어떻게 전송 효율에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스킨 효과는 고주파 신호가 전도체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하여, 유효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저항을 증가시켜 전송 효율을 떨어뜨립니다. 이로 인해서 전송 시 더 많은 전력 손실이 발생하고,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표면적이 넓은 도체나 다심 케이블을 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

    스킨효과라는 것은 전류가 도체의 표면 근처로 집중되도록 하고 전류가 도체 내부 깊숙이 흐르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스킨효과가 전송 효율에 줄 수 있는 영향으로는 저항 증가와 신호왜곡, 발열 등이 있습니다

    고주파일수록 전류가 도체 표면으로 몰리는데 이러면 유효 단면적이 줄어들어서 도체의 저항이 증가합니다

    그리고 전류밀도가 도체 표면에 집중되면 신호의 위상이나 전송특성의 왜곡을 발생시켜요

    높은 저항으로 인해서 전선의 열이 발생하기도 하고요

    따라서 고주파 신호전송에는 스킨효과를 최소화 하기위한 방법들이 필요합니다

    그방법에는 표면적을 넓히는 것도 있고 특수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있어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 스킨 효과는 전류가 도체 표면으로 몰리게 하여 유효 단면적을 줄어들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도체의 저항이 증가해 전송 효율이 감소하고, 신호 손실이 커집니다.

    특히 고주파에서 이 현상이 더 심해지므로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표면적이 넓은 도체, LITZ 선과 같은 특수 도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고주파 신호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스킨 효과는 전류가 도체 표면 가까이로 집중되는 현상으로 전송 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류가 도체 내부보다 표면을 통해 주로 흐르게 되어 도체의 유효 단면적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저항이 증가합니다. 결과적으로 전력 손실이 커져 전송 효율이 낮아지며 열이 발생해 전송 성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고주파 신호 전송 시에는 도체를 여러 가닥의 얇은 선으로 구성한 리츠 선이나 표면 도금 처리한 도체를 사용해 스킨 효과로 인한 저항 증가와 효율 저하를 최소화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스킨 효과는 고주파에서 전류가 도체 표면으로만 흐르도록 하여 유효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저항이 증가해 전송 효율이 저하됩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도체를 얇게 쪼개거나 특수 도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 발생하는 스킨 효과는 주로 전류가 도체 표면에 집중되면서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줄어드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도체의 유효 단면적이 줄어들어 전송 저항이 증가하게 됩니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전류가 점점 표면에 분포하게 되어 내부 사용 가능 면적이 줄어들어 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신호 손실과 발열이 증가하게 되어,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고주파 전송을 위한 도체 선택 시에는 스킨 효과를 고려한 설계가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고주파 신호를 전송할 때 스킨 효과는 전류가 도체의 표면 근처로 몰리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도체의 유효 단면적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저항이 증가합니다. 저항이 커지면 전송 효율이 낮아지는데, 에너지가 열로 더 많이 소모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도체의 직경을 늘리거나 여러 가는 선을 꼬은 리츠 와이어를 사용해 전류의 분포를 최대한 고르게 분산시키는 방법이 활용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스킨 효과는 고주파 신호가 도체 표면에 집중되도록 합니다. 유효한 전도 면적을 줄이고 저항을 증가시켜서 전송 효율을 낮추게 해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고주파 신호를 전송할 때 도체 표면 근처에서 전류가 집중되는 현상을 스킨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발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체의 온도 상승으로 저항이 커져 손실이 발생합니다. 또한 신호가 왜곡되는 현상으로 신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지요. 이런 스킨효과를 줄이기 위해 도체의 굵기를 키우거나 여러 신호를 분할 전송하는 것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고주파의 신호를 전송하면 그 전류가 도체의 표면 근처에서 흐르게 되는데요. 이런 현상을 스킨 효과라고 합니다. 결국 고주파의 신호를 보내는 전선의 중심이 아닌 표면에 전류가 흐르면서 더 넓은 면적에 전류가 흐르고 그럼 저항이 높아지면서 전송과정에서 전력이 손실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