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조선 후기에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전래되는 과정과 천주교도들에 대한 탄압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17세기경 조선 후기에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전래되는 과정과 천주교도들에 대한 탄압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주교는 임진왜란 후, 명나라에 갔던 조선의 사신인 이수광이 이탈리아 신부인 마테오 리치의 책 <천주실의>를 들여오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그의 친인척을 중심으로 몇몇 사람들만 이를 접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조 때 병자호란 후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갔던 소현세자가 천주교와 서양 과학 기술을 배워오며 천주교는 또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정조 때는 남인 세력을 중심으로 천주교가 ‘서학’이라는 학문으로 연구되었으며 어느 새 천주교 신자들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정조 다음인 순조 대에 이르러 정순왕후가 천주교를 금지하면서 천주교를 믿는 사람들은 대대적으로 탄압을 받게 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 시대에 천주교를 탄압한 것은 올바른 정책이었을까? (천재학습백과 초등 토론배틀)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주교는 서학이라는 이름으로 청에 먼저 전래되었고 이를 청나라와 사신단으로 왕래하던 역관층에게 전파되어 조선에 유입되었습니다. 최초의 세례자는 이승훈이며 주로 중인, 남인, 여성들에게 전파되었습니다.

      천주교는 신분제나 제사 등 유교적 질서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라 매우 위험한 서양사상으로 받아들여져 많은 박해를 받았습니다. 목숨을 잃거나 유배되는 이가 상당히 많았는데 여러 차례 박해 속에서도 꿋꿋이 신도를 늘려갔습니다. 결국 병인양요와 병인박해로 프랑스와의 수교가 늦어졌는데 천주교가 허용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