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감전 시 응급처치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 감전 시 당황하여 조치를 어떻게 해야할지 멘붕이 올것같은데요
감전 예방 방법 및 응급 처치 대응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전기에 감전되지 않으려면 절연장갑를 필수로 착용해야 하고 감전이 되었다면 심하지 않는 경우는 금방 회복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즉시 119를 불러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요즘같이 장마철에 감전사고 위험이 높은데요.
예방이 최선이죠.
감전은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어요.
습기와 물기가 많은곳에 전자기기가 있으면 접지를 해두는 것이 좋아요. 만약 물에 침수되었다면 차단기를 즉시 내려야 해요. 물에 잠겼던 전자기기는 안전한지 꼭 확인후 사용하세요.
만약 주변인이 감전 되었다면 전선 및 전자기기 등 차단기를 내려야해요. 만약 차단기가 없다면 절연체를 찾아야 해요.
절대 감전된 사람을 만지만 안돼요.
전기가 통하지 않는 고무장갑이나 고무가 있는 절연장갑을 착용해야 해요.
전기를 차단했다면 119에 신고하시고 의식이 확인 후 없으면 심정지의 가능성이 있기에 구급대원이 올때까지 심폐소생술을 지속적으로 해줘야 해요.
만약 심폐소생술 방법을 모르면 119대원과 통화하며 처치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조심해야할것은 화상을 입었다면 조직 손상이 있을 수 있으니 꼭 119 대원 도움 받으셔야 해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 감전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먼저 전원을 즉시 차단하거나 감전된 사람과 전류의 접촉을 끊어야 합니다. 도전성 물질(금속 등)이 아닌 절연체(나무, 플라스틱 등)를 사용해 안전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감전자가 의식을 잃었을 경우, 호흡과 맥박을 확인하고 의식이 없으면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해야 합니다. 즉시 119에 연락해 응급 의료 지원을 요청하며, 응급처치 중에도 가능한 한 빠르게 전문 의료인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사람이 감전시 다이렉트로 만지면 안되고 비도체 인 나무나 이런걸로 일단 감전 된 사람을 쳐서 그 주변으로 부터 벗어 나여 합니다. 잘못 하다가는 조치 하다가 둘다 위험 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
감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해자가 아직 전기를 받고 있는 상태라면 가해자와 피해자의 안전을 위해 전원을 차단해야 합니다. 전원을 차단할 수 없다면, 부착된 전기를 제거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피해자와 전기를 분리해야 합니다.
이후
감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즉시 응급 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감전을 당한 피해자에게 숨소리나 심장박동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시도해야 합니다. 피해자가 의식을 잃었을 경우 안전한 위치로 옮겨놓고 훈훈하게 감시하며 응급의료팀의 도착을 기다려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