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소설, 영화, 게임 등에서 그리스 신화의 인물이나 스토리가 어떻게 재해석되고 활용되고 있나요?
현대의 소설이나 많은 문학작품이나 영화 콘텐츠등에서 그리스신화의 인물이나 스토리를 많이 채용하는데 어떻게 재해석되고 활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그리스 신화는 수천 년동안 서양 문화의 밑바탕이 되어 왔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활용되고 있습니다. 질문자께서 말씀 주신 그리스 신화의 인물이나 스토리가 어떻게 재해석 되고 활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과거의 그리스 신화가 어떻게 재해석 되는지를 살펴 보겠습니다. 과거의 그리스 신화의 신들이 가졌던 인간적인 면을 더욱 부각시켜 그들의 고뇌나 실패와 성장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거에 그들이 가졌던 '신성'보다는 '인간성'에 더욱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물론 고대 그리스 신들의 성격에 인간적인 면이 많았던 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과거에는 수동적이거나 도구적 역할에 불과 했던 여성 캐릭터 들을 재해석하여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인물로 묘사하는 경향도 있습니다(메두사, 패르세포네 등). 또한 현대 사회의 이슈와 접목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인물들을 재해석 하기도 합니다.
또한, 과거의 '영웅의 일대기'구조나 '갈등과 해결'구조를 그대로 차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를 현대적 배경에 맞게 현대 사회를 배경으로 변용하여 적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비극의 결말을 희극적으로 바꾸거나, 여러 장르를 혼합하여 재구성 하는 경우도 있겠습니다.
구체적인 예로, 영화나 드라마의 콘텐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퍼시잭슨 시리즈] - 신화속 인물과 사건을 현대적으로 각색
[트로이] - 과거의 신화적 사건을 인간적 중심적 사건으로 변용
[원더 우먼] - 그리스 신화의 아마존 부족의 이야기를 차용
[시지프스: the myth] - 시지프스 신화의 반족되는 고통과 무의미한 노력이라는 모티브를 현대 사회 문제에 비유하여 재해석
[하데스타운 - 뮤지컬] - 그리스 신화 중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뮤지컬
소설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메리칸 갓즈] -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가져온 신들과 현대 미국 사회에서 새롭게 생겨나는 신들의 대립을 그려, 그리스 신들의 갈등과 전쟁을 차용
[키르케] - 키르케의의 시선으로 신화속 여성의 삶을 재조명
게임의 예입니다.
[갓 오브 워] - 그리스 신화 뿐 아니라 북유럽, 이집트의 다양한 신들이 등장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 고재 문명들과 그리스, 이집트 , 북유럽 신화속 신들과 괴물들 등장
: 이들 게임은 그리스 신화의 세계를 확장하여 그들이 이집트난 북유럽 신화와 연결 되도록 세계관을 확장시켜 적용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그리스 신화는 단순히 옛이야기를 그대로 가져오는 것을 넘어 오늘날의 가치와 관점을 반영하여, 우리의 문화를 더욱 풍성하게 해주고 있습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그리스 신화는 정말 수많은 영화/애니/코믹스/게임 등 활용사례가 많아 대표적이고 흥미로운 시리즈 한건을 소개드립니다!!
: 바로 8비트 게임시대에, MSX라는 기계에서 ROMPACK형태로 플레이되었던 KONAMI사의 마성전설 시리즈입니다..
1편은 갤러그나 제비우스 처럼 정통의 종방향 슈팅게임인데 주인공인 기사가 그리스신화적 건축기둥의 배경으로 전투를 벌이며 BOSS캐릭터로 대표적인 Monster인 메두사가 등장하기도 합니다!
2편은 이에 더해 완전히 아프로디테라는 최고의 그리스신화 여신이 2P플레이어로 조종하는 여성캐릭터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3편도 추후에 RPG형태로 위에서 내려보는 MAP방식으로 나오는 듯,
: 총시리즈 전편이 다양한 게임방식, 멋진 음악들로 가득차고 그리스신화의 액션/분위기가 흠뻑 묻어나오는 고전명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