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으로 남극 북극을 탐험할 수는 없는건가요?
인공위성으로 남극 북극을 탐험할 수는 없는건가요?
아직 조사할게 많다고 하는데...사람이 직접 못가면 하늘에서 봐도 되는거 아닌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으로 얻어지는 데이터는 모든 것을 다 파악할 수는 없기때문입니다. 인공위성은 고도에서 바라보는 시점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지형의 상세한 정보나 지하수나 바다속의 데이터 등은 얻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위성으로 남극과 북극 지역을 탐험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인공위성은 극지방까지 실시간으로 관측이 가능하며, 극지방의 기상 및 지질 정보 수집을 위해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극지방의 해빙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연구하는데에도 인공위성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위성으로도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이나 날씨 등의 여건 때문에 아직까지도 탐험하지 않은 지역도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위성으로 북극과 남극 지역을 탐험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인공위성은 지구의 궤도를 돌면서 지구의 다양한 지역을 촬영하고,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구의 상태를 파악하고, 지리적, 기후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북극과 남극 지역은 극지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인공위성의 탐사에는 다양한 어려움이 따릅니다. 예를 들어, 북극과 남극 지역은 자연환경이 매우 극단적이며, 대부분의 시간이 어두운 상태입니다. 또한, 지구 자전에 따라 위성의 궤도가 계속해서 변하므로, 정확한 탐사를 위해서는 위성의 궤도를 조정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미 인공위성을 통해 남극과 북극을 탐험하고 있습니다.
인공위성을 통해 남극의 얼음 변화를 포착하고, 눈 속에 숨겨진 크레바스와 바다의 플랑크톤을 관찰하여 연구자료로 사용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5호가 남극지방을 탐사하고 있습니다.
아리랑 5호에 탑재된 영상레이더를 활용하는데요, 레이더에서 쏘는 마이크로파는 눈 입자를 통과하기 때문에 숨겨진 크레바스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몰론 습도가 높아 눈 입자 사이에 물방울이 많은 경우에는 위성의 마이크로파가 눈을 투과하지 못하지만, 남극 대륙은 매우 건조한 기후여서 위성을 통한 탐사가 매우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위성으로 사진촬영등은 할수있겠지만, 인공위성으로도 도달하지못하는 숨은영역들이 존재합니다.
또한 표본채취등의 임무는 위성이 대신해줄수없기에 직접 탐험을 하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