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
23.01.01

정부에서 거시경제 정책을 결정하는 요소는?

안녕하세요. 정부에서 거시 경제 정책을 결정할때 사용하는 지표에 어떤게 있나요?? 최근에 뉴스를 보니 장단기 금리차이가 중요하다는거 같은데 이와 비슷한 지표가 또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0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지표 가계 기업 정부 등 개별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을 합한 국민경제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경제지표입니다. 국민소득 국제수지 실업률 환율 이자율 통화율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경제지표 종류에는 실질GDP, 경제성장률, 잠재GDP, GDP갭, GDP 디플레이터, GNI, 1인당 GNI 광공업생산지수경기동행지수, 경기선행지수, 경기선행지수 구성지표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총생산(GDP), 국민총소득(GNI), 물가상승률, 실업률, 국제수지 등이 있습니다. 또한 단기금리로는 콜금리, CD금리, CP금리 등이 있으며, 장기금리로는 국고채 3년물, 5년물, 10년물 등이 있습니다. 또한 물가상승률, 실업률, 통화량 증가율 등 다양한 변수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최종적인 경기판단 및 전망지표로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GDP 성장률과 CPI, PPI 즉, 물가 상승률입니다. 이 두 가지 지표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하게 되고, 돈을 더 풀거나 회수하는 등 사실상 거시경제 정책의 양대 축이 되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 말씀해주신 장,단기 금리 차의 경우 미래 경기침체가 될지 여부를 알려주는 가늠자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가 거시 경제 정책을 결정할 때 활용하는 지표들은 거의 전체를 봐야 한다고 하지만 그 중에서 많이 보는 지표들을 따진다면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황과 이에 따른 금리기조

    • CPI 지수

    • PPI 지수

    • 취업률 및 실업률

    • 개인들의 연체증가율

    • PF대출 연체증가율

    • 달러환율 상황

    • 미국국채 보유고 현황 및 외환보유고 현황

    • 무역수지

    현재 가장 우리나라 경제 정책에 가장 초점은 '미국의 경제 정책'입니다. 미국이 금리인상만 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가 현재 금리인상을 무리하면서 빠르게 올릴 이유가 없어지게 되고 그럼 연체증가나 실업률 증가는 감소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정부가 가장 초점을 맞추는 것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황'이라고 보시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