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24.03.17

국가별로 물 부족이라는 것을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나요?

우리나라도 물 부족 국가라고 하는데 도서 벽지에 거주하는 주민들 또는 갑자기 사고로 단수가 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물 부족을 겪는 주민은 없는 것 같아요. 그럼에도 물 부족이라는 것은 물이라는 자원의 보유량을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기에 우리나라도 물 부족 국가에 포함되는지 궁금해요. 그리고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니 바닷물을 정제해서 마시는 물로 만들어도 물이 부족할 일이 없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을 정화할 수 있는 기술이 없는 국가를 보고 묿부족 국가라고 합니다. 당연하다고 생각들지만 없는곳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부족은 국가별로 다양한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아래에서 몇 가지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인구당 물 사용량: 국가의 인구 수에 비해 사용 가능한 물의 양을 고려합니다. 인구당 물 사용량이 낮을수록 물 부족이 심각한 상태입니다.

    물 자원의 가용성: 국가 내 물 자원의 양과 가용성을 고려합니다. 물 자원이 부족하거나 오염되었을 경우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후 조건: 기후 변화, 강수량, 건조 여부 등을 고려합니다. 건조한 지역에서 물 부족이 더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 관리 및 인프라: 물 관리 시스템, 물 공급 인프라, 물 분배 시스템 등을 평가합니다. 물 관리가 미흡하거나 인프라가 부족할 경우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 요소: 국가의 경제 상황과 물 가격을 고려합니다. 물 가격이 높거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 부족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됩니다. 국가별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은 국가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indeed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지 않지만 여전히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물 부족은 단지 물이 부족한 지역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물의 보유량과 수요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 부족을 판단하는 기준은 매우 다양합니다.

    우리나라는 indeed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지만 바다물을 정제해서 마시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바닷물을 정제하는 기술은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그리고 정제된 물을 저장하고 운반하는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바닷물을 정제해서 마시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국가별로 물 부족을 판단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기준은 물의 보유량과 인구 수의 비율입니다. 즉 인구 수에 비해 물의 보유량이 적은 국가일수록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물의 보유량 뿐만 아니라 물의 질과 사용량 물 관리 시스템 등도 고려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지 않지만 여전히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물의 보유량과 수요의 균형을 맞추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한국은 물 부족 국가가 아닌 물 스트레

    스 국가에 속합니다.

    물 부족 국가는 물 자원 자체가 부족하여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를 말하며 물 스트레스 국가는 물

    자원은 충분인구

    밀도 기후 사용량 등으로 인해

    물 부족 문제가 발생하는 국가를 말합니다.

    풍부여름에 집중되어 있으며 국토가 좁고

    산지가 많아 저장 용량이 부족합니다.

    인구 밀도가 높아 1인당 사용 가능한 물 자원이 부족합니다.

    깨끗한 물을 생산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낙후된 수도 시설로 인한 누수 문제가 심각합니다.

    생활 농업 산업 분야에서 물 사용 효율성이 낮습니다.

    해수 담수화 기술을 활용하여 물을 공급하고 있지만

    높은 생산 비용과 에너지 소모가 문제입니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여 비상 용수 확보 및 관리

    시스템이 중요합니다.

    기술 발전으로 해수 담수화 비용이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에너지 소모와 환경 문제가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해수 담수화는 단기적인 해결책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장

    기적인 관점에서는 물 사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개인 기업 정부 차원에서 물 절약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누수 문제 해결 및 효율적인 물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폐수 처리 기술 개발 및 재이용 시스템 확대가 중요합니다.

    스마트 물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물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한국은 물 스트레스 국가이며 효율적인 물 관리가 중요합니다.

    해수 담수화는 단기적인 해결책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물 절약과 재이용에 집중해야 합니다.

    개인 기업 정부 모두가 함께

    노력하여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부족 문제는 물의 이용과 관리에 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단순히 물의 보유량만으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물의 보유량 자체는 상대적으로 풍부하지만 지리적인 특성과 인구밀도, 물의 이용 패턴 등을 고려할 때 물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서 벽지와 같이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물의 수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바닷물을 정제하여 마시는 물로 사용하는 해수담수화 기술은 있지만, 이는 비용이 많이 들고 환경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UN에서는 1인당 사용 가능한 수자원량이 1700m^3 이상이면 물 풍요 국가, 1700m^3 미만이면 물 부족 국가, 1000m^3 미만은 물 기근 국가로 분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