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10

황사와 미세먼지의 차이점이 뭔가요?

봄이 되면 꼭 황사가 오잖아요.

그리고 한국도 언젠가부터 미세먼지가 많아졌잖아요.

미세 먼지나 황사나 비슷한거 아닌가요?

어떻게 차이점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0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세먼지는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아주 작은 크기의 모든 먼지를 의미하고, 황사는 크기에 관계없이 사막지역에서 발생하는 흙먼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황사가 아주 작은 크기이면 미세먼지라고 부르게 됩니다. 미세먼지는 공장이나 자동차와 같은 미세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원인에 따라서 성분이 매우 다양하지만, 황사의 주요 성분은 칼슘, 규조토와 같은 토양성분으로 구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산은 중국의 사막이나 몽골의 초원에서 날아오는 흙가루를 말하며

    미세먼지는 공장이나 자동차에서 나오는 먼지를 말합니다

    이처럼 발생하는 기원이 틀리며

    입자의 크기또한 황사가 더 큰걸로 알고있습니다


  • 미세먼지와 황사의 차이는 성분에 있다. 황사에는 중국 황토고원과 사막지대에서 불어온 토양 성분이 많다. 미세먼지에는 화석연료가 타면서 발생하는 황산염, 암모늄 등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 급속화합물 등 광물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다.


  •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황사와 미세먼지에 대해 정의 및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1. 황사

    주로 중국 북부나 몽골의 건조, 황토 지대에서 바람에 날려 올라간 미세한 모래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강하하는 현상 또는 강하하는 흙먼지를 말합니다.보통 저기압의 활동이 왕성한 3∼5월에 많이 발생하며, 때로는 상공의 강한 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 태평양, 북아메리카까지 날아갑니다.황사 현상이 나타나면 태양은 빛이 가려져 심하면 황갈색으로 보이고, 흙먼지가 내려쌓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2. 미세먼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 중에 오랫동안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직경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입니다.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또는 제조업ㆍ자동차 매연 등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기관지를 거쳐 폐에 흡착되어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대기오염물질입니다.

    3.차이점

    황사나 스모그 둘다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끼쳐, 황사나 스모그의 고농도 발생 시 시정(visibility)을 악화시켜 대기가 뿌옇게 보이고, 호흡기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황사가 중국 몽골의 건조지대에서 강한 바람에 의해 높은 대기로 불어 올라간 흙먼지가 바람을 타고 이동해 지상으로 떨어지는 자연현상인 반면, 고농도의 미세먼지 발생은 자동차ㆍ공장ㆍ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배출된 인위적 오염물질이 주요 원인이 된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