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창을보면 per 이라는게 있는데
주식창을 보며per이라는게 있는데. 이것은 무엇을 나타내는건가요?그주식에 뭔가를 나타내는것이라고 하는데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PER' Price-Earning Rat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기업의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 계산 방법은
PER = 주가 / 주가순이익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순이익이 1000원 이라면,
PER는 10이 됩니다.
즉, 이 기업의 주가는 주당순이익의 10배에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PER라는것은 주가수익비율이며 해당 주식기업의 이익 수준을 주가와 비교하여 밸류에이션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매년 기업은 순이익 발생하고 이를 전체주식수를 나눈것을 EPS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EPS를 주당순이익이라고 하며 이를 주가와 비교하는것을 PER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하이닉스의 EPS가 3만원이고 주가가 18만원이면 PER는 6배라고 하는것입니다.
만약 하이닉스의 반도체 호황사이클에서 PER가 8배를 평균적으로 적용받았다면 현재 PER가 6배라고 하면 그만큼 밸류에이션이 저평가이고 상승유인이 있다고 보는것입니다
PER(주가수익비율, Price to Earnings Ratio)은 주식의 가격이 그 회사의 1년간 수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또는 저렴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하면 현재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알려줍니다.
PER은 "주가 ÷ 주당 순이익(EPS)"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주가가 100,000원이고 주당 순이익(EPS)이 10,000원이라면 그 회사의 PER은 10이 됩니다. 이 말은, 현재 주가가 1년간 벌어들이는 순이익의 10배에 해당한다는 뜻입니다.
PER이 낮으면 그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성장 가능성이 낮을 수도 있습니다.
PER이 높으면 그 주식이 고평가된 것일 수 있지만 미래 성장 기대가 반영된 것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R은 그 회사의 현재 가치와 미래 성장성을 평가할 때 유용한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PER는 주가수익비율로 현재 주가가 그 회사의 1주당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PER이 높으면 주가가 상대적으로 비싸고, 낮으면 싸다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에서 볼 수 있는 PER은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누어 계산한 것입니다.
이는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비율이 얼마인가를 나타내 줍니다. 예를 들어 PER이 20이면 주식 1주가 순이익의 20배
라는 뜻입니다. PER이 높으면 고평가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사실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단순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 대비 당기순이익을 비교한 값을 말합니다
당기순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몇배나 더 높은지를 말하는데 우리나라 평균이 10정도 하기 때문에
10 미만이라면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술주는 10을 훨씬 넘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멀티플을 10배 이상 받은 주식이라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ER이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고, 높을수록 고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PER(Price Earnings Ratio)은 주가수익비율로, 주식의 현재 가격이 주당 순이익(EPS)과 비교하여 얼마나 비싼지 또는 저렴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주가수익비율)은 Price to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주가가 기업의 수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주가가 1주당 이익의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겁니다. PER이 높으면 그 주식이 현재 과대평가되었을 수 있고 PER이 낮으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수치는 투자자들이 그 회사가 얼마나 수익을 내는지에 비해 주식을 얼마에 사고팔고 있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로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주가의 수익성 지표를 말합니다.
이는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하며,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비율은 해당 주식이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PER이 낮으면 그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높은 경우는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ER은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를 반영합니다. 즉, PER이 높을수록 시장에서 해당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산업이나 시장 상황에 따라 PER의 적정 수준은 달라지므로, 다른 기업과 비교하거나 역사적인 수치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지표는 주식 투자 결정을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PER을 참고하여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이 과연 매력적인지, 또는 다른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R은 주식 분석의 중요한 도구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안녕하세요.
주식 용어인 PER은 Price Earning Ratio 의 약자로,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 즉, 주가수익비율입니다.
주가를 1주당 예상 순이익으로 나누면 주가수익비율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여기서 주가는 주식 1주당 가격을 의미하며 PER은 1주의 가격을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이므로 이 기업의 가격이 이익의 몇배로 책정되어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