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과 서리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이슬과 서리는 내리는 시기가 차이 나는 것인가 정도만 알고 있습니다. 생성과정에서 어떤 차이기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이슬과 서리 내리는 것으로 그날의 날씨도 짐작할 수 있는지도 궁금해요.
낮에 태양열에의해 데워진 땅이 밤이 되면서 태양열이 없어 점점 식어가게 됩니다.
이때 땅위의 나무와 식물들도 함께 온도가 내려 갑니다.
이렇게 차가워진 땅과 식물들에 의해 주위의 공기도 함께 차가워 집니다.
공기는 차가워지면 부피가 줄어들게 되고 분자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어 뜨거울때보다 수증기를 머금을수 있는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하여 공기중에 더이상 머무를수 없게된 수증기가 서로 뭉쳐서 식물이나 땅에 내려 앉게 됩니다.
이것이 이슬이고,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이슬이 얼게 되는데 이것이 서리 입니다.
또한 하늘에 구름이 끼게 되면 구름에의해 땅에서 복사되는 열이 다시 아래로 내려오거나 대류되어 구름이 없는 날보다 온도가 내려가는 속도가 느려진다고 합니다. 하여 이슬이 많이 내리거나 서리가 많이 내리면 날씨가맑을 확율이 높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슬은 수증기가 물로 변한 것이고 서리는 물로 변했다가 온도가 더 내려가서 얼음으로 변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서리가 생겼다는 것은 기온이 더 낮다는 얘기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슬은 밤새차가워진 나뭇잎이나 유리창에 물방울이 액화되어 생깁니다. 서리는 이러한 이슬이 영하의 기온으로 내려가면 살얼음이 끼면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서리가 끼는 날은 추운 늦가을이나 초겨울, 초봄에 잘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따뜻한 공기는 밀도가 작아서 차가운 공기보다 수증기를 더 많이 함유할 수 있습니다. 공기가 차가워지면 공기에 포함되어있던 수증기가 가까운 물체의 표면에 뭉쳐서 작은 물방울을 이루게 되는데 이것이 이슬입니다. 서리는 춥거나 일교차가 큰 날씨에 많이 생기는데 만들어지는 원리는 이슬과 같고, 차이점은 서리는 얼어 있어서 눈처럼 다양한 결정이 생긴다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이슬과 서리 모두 대기 중에 있던 수증기가 변화해서 생긴 것입니다.
이슬은 주로 액체 상태인 반면, 서리는 고체 상태입니다.
이슬이나 서리가 많이 맺히는 것은 맑은날 밤 습도가 높을 때 생기는 현상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